구제역 추정 유입 경로

입력 2000-03-30 14:31:00

경기 파주에서 발생한 가축전염병은 어떤 경로를 통해 유입됐을까.

농림부는 유입가능 경로를 세가지 측면으로 보고 있다.

우선 △구제역이 발생한 국가의 동물이나 쇠고기, 돼지고기 등 축산물이 국내에 반입됐거나 △항공기나 선박에서 구제역 바이러스가 묻어있는 축산물의 남은 음식물, 여행객이 매개체가 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수역사무국(OIE)의 자료에도 지금까지 발생한 각 나라의 구제역 발생원인은 수입가축 36%, 식육제품 23%, 기타 41%로 가축이나 음식물의 반입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번 '의사 구제역'이 공기나 물을 통해서 전파됐을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이 경우 중국에서 번지고 있는 구제역 바이러스가 황사바람을 타고 서해를 건너왔거나 북한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공기나 강, 야생동물을 따라 넘어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검역당국은 보고 있다.

검역당국 관계자는 "대만도 97년 구제역 발생원인을 중국 밀수품으로 단지 추정하고 있을 뿐 구제역의 정확한 유입경로를 추정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우선 방역작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