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의 계절이다. 중국에서 넘어 오는 이 누른 모래 바람에는 엄청난 양의 오염물질까지 섞여 있어 더 문제. 올해 오염도는 예년의 15배나 되는 사상 최악이라 한다.
이런 황사가 닥칠 때 우리 몸에서 가장 괴로운 곳은 눈이다. 황사와 그 속의 미생물이 이물감·충혈·가려움·눈물흘림·시력장애 등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알레르기성 각막염이나 결막염을 갖고 있으면 충혈과 가려움이 더 악화될 수 있다. 황사 먼지와 미생물이 콘택트렌즈에 흡착돼도 각막 표면에 상처를 줘 각막염이 생길 수 있다.
황사현상이 심하면 불필요한 외출을 하지 않아야 한다. 외출에서 돌아왔을 때는 손과 얼굴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외출할 때 렌즈 대신 안경을 쓰는 것도 눈병 예방의 한 방법이다.
눈에 먼지가 들어갔을 때는 얼굴을 씻고 생리 식염수로 눈알을 씻는다. 이때 소금물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이물감이 있거나 가렵다고 해서 눈을 부비면 증상이 더 나빠진다.
만약 가려움증·이물감·충혈·눈꺼풀·부종 등 증상이 있으면 안과를 찾는게 좋다. 콘택트렌즈 사용자에게 이런 증세가 있으면 즉시 렌즈를 빼고 치료 받아야 한다. 하루이틀 미루다간 각막궤양으로 발전돼 실명할 수도 있다.
박영훈 교수(영남대병원 안과)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