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군 병역비리 합동수사반이 16일 전·현직 의원과 사회지도층 아들 66명에 대한 소환 조사에 착수하자 여·야 각 당은 이번 수사가 총선 정국에 미칠 파장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며 '야당 탄압' 공방전을 벌였다.
여당은 "원칙적으로 검찰이 알아서 할 일로 선거와는 무관하다"는 태도를 보였으나 야당은 "총선을 의식한 야당 탄압 의혹이 짙다"며 민감한 반응을 나타냈다.
민주당 정동영 대변인은 이날 "병역비리 수사는 검찰 소관"이라는 한 줄짜리 논평만을 발표하며 애써 당과 무관함을 강조했다.
김옥두 사무총장도 "병역비리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일로 사직 당국이 철저하게 수사할 것으로 안다"는 주장을, 정균환 총재특보단장은 "병역비리는 총선과 무관하게 오래전부터 추진돼 온 일로 개인 비리에 해당하며 정당을 끼고 수사망을 빠져 나가려고 한다면 국민적 지탄을 받을 것"이라며 야당 측 공세를 일축했다.
이에 대해 야당은 '정치적 의혹'과 '야당 탄압' 등을 내세우며 수사 연기를 주장하고 나섰다.
한나라당 홍사덕 선대위원장은 "병역비리 수사는 혐의 사실을 확인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높은데 선거를 한달 앞두고 수사를 하겠다는 것은 '집단적 무고 행위'를 공권력이 자행하겠다는 것"라고 비난했다.
또 "야당 의원들이 집중적인 피해를 보게 되었다는 사실이 명백한 증거"라며 여당의 주장에 맞섰다.
서청원 선대본부장도 "97년 대선 직전 'DJ 비자금' 수사를 정치적인 고려로 연기했던 것과도 형평에 맞지 않는다"며 "출마 예정자의 아들 대부분이 선거사무원이나 회계책임자 등으로 선거법 제 11조에 의해 신분이 보장되는 만큼 소환 조사도 미루어야 한다"며 수사 연기를 촉구했다.
자민련도 이규양 선대위 수석부대변인을 통해 "오래된 비리라면서 왜 하필 지금 관련자를 소환 조사하는지 납득하기 어렵고 정치적 의혹을 불러일으킬 소지가 많다"는 논평을 내고 한나라당과 같은 목소리를 냈다.
민국당 김철 대변인도 "병역비리야 사회정의 차원에서 백번 엄벌해야 하지만 지금 수사를 한다는 것은 다른 의도가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비난에 가세했다.
李宰協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