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의 스포트라이트가 강하면 강할수록 어둠은 더욱 짙은 법. 지난해 '바꿔'의 대중가수 이정현은 30여억원을 벌었다. 그러나 대부분 대중음악인들은 생활고에 허덕이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대중음악인 60%가 소득 50만원 미만이라면 믿을 수 있을까. 한국민족음악인협회(이사장 김철호)가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후원을 얻어 지난해 4∼11월 전국의 대중음악 창작인 및 공연예술인 1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월평균 소득이 50만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응답자가 59.1%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을 넘는다는 응답자는 각각 2명(1.5%)에 지나지 않았고, 65.9%에 해당하는 87명이 예술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월평균 수입이 30만원 미만이라고 대답했다. 주된 수입원으로는 가수와 작곡자의 경우 각각 50%와 30.5%가 지역문화행사를 꼽았고 연주자는 클럽활동(25.6%)과 음반 세션(20.5%)을 들었다.
반면에 예술활동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은 46.2%로 불만이라는 응답(28.8%)보다 훨씬 많았다. 불만을 표시한 응답자들은 '경제적으로 어려워서'(20.5%), '창작발표기회가 부족해서'(84.1%) 등의 이유를 들었다(복수응답).
대중음악인들은 문화예술의 중요한 기능으로 '새로운 가치창조'(72.9%)를 가장 많이 들었으며 '사회모순 비판'(43.4%), '개인 정서안정'(35.9%), '지배자 억압에대한 저항'(14.7%), '사회안정 도모'(7.8%) 등이 뒤를 이었다(복수응답).
대중문화의 장애요소로는 '사회적 인식 부족'(31.5%), '검열 등 외부간섭'(21.3%), '사회적 지원 부족'(18.9%), '예술능력의 한계', '경제능력의 한계'(이상 14.2%)등이 꼽혔다.
자신의 활동분야에 대한 사회적 평가가 다른 분야에 비해 낮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41.7%로 나타나 문학인들의 응답률(28.1%)보다 훨씬 높았다.
金重基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