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오는 14일 경제 5단체의 정치활동 선언을 계기로 본격화될 재계의 정치참여 움직임과 관련해 "노동계 등 각종 이익단체의 선거개입을 촉발시킬 가능성이 있다"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여야 의원들은 특히 시민단체들에 이어 재계까지 '리스트 행보'에 가세할 경우 선거분위기가 더 혼탁해질 가능성을 우려하며 모처럼 한목소리로 특정인을 거명하는 명단공개 행위를 자제해 줄 것을 주문했다.
하지만 핵심 당직자들은 선거법 개정으로 재계의 정치참여를 거부할 명분이 없어진 상황인데다 돈줄을 쥐고 있는 재계의 심기를 앞서 건드릴 필요가 없다는 판단에서 "추이를 지켜보자"며 향후 사태전개를 주목하고 있다.
민주당 박상천(朴相千) 총무는 재계의 정치참여에 대해 "선거법 개정으로 가능해졌다"면서도 "재계가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분석을 해보지 않았다"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자민련 김현욱(金顯煜) 사무총장도 "재계의 정치참여를 배제할 충분한 명분과 사유가 없다"면서 "이에 대한 평가는 좀더 검토해 봐야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자민련 정치개혁특위 간사인 김학원(金學元) 의원은 "재계는 노동단체와 극렬히 대치할 것이며 특히 의원들이 노동자에게 부응하는 정책을 펴는데 대해 강력히 반발해 국민들을 엄청난 혼란에 빠뜨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의원은 "재계를 포함한 모든 단체는 자신들의 의견을 개진하는 선에 머물러야지 특정인은 된다, 안된다고 하는 것은 유권자의 선택권을 막는 위험한 일이 될것"이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장광근(張光根) 부대변인도 "기준을 정한 의견개진은 문제가 없으나 특정인을 거명하는 것은 이익단체들의 부당한 간섭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분명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재계출신인 이한구(李漢久) 정책실장은 "국가차원에서 경영자 대표들이 움직이면 노동단체들과 균형을 이루고 정치권 자금지원의 뒷거래가 사라지는 등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면서 "그러나 특정기업 단위나, 업종별로 움직이면 의원들의 의정활동을 왜곡시키는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