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공천반대 명단 분석

입력 2000-02-02 15:33:00

총선시민연대가 2일 발표한 '2차 공천반대자 명단'도 1차 때와 마찬가지로 부정부패 비리 연루자들이 가장 많았다.

부정부패 비리 연루자가 전체 48명 중 31명으로 65%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민주헌정질서 파괴 전력자로 구분되는 인사들이 14명이 포함됐다.

민주헌정질서 파괴전력에 연루된 인사들은 대부분 지난 80년 5공화국 출범당시 국가보위 비상대책위 및 국가보위 입법회의 참여자들과 12.12, 5.18 사태 관련자들.시민단체가 의정활동 평가에 그치지 않고 역사에 대한 평가와 재단까지 해서는 안된다는 정치권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대거 포함시킨 것은 낙천.낙선운동을 통해 과거 인물에 대한 인적 청산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반면 1차 명단 발표 때 상당수 포함됐던 선거법 위반 유형은 5명에 그쳤다.

또 이번 명단에서는 현역 의원 6명(민주당 2명, 한나라당 4명)을 빼놓고 원외인사들이 주요 평가대상이었기 때문에 의정활동 불성실로 포함된 인사는 한명도 없었다. 2차 명단 중 주목되는 우선 인사로는 이종찬 전 국정원장, 정대철 전 의원 등 여권인 민주당의 중진들.

이 전 원장은 80년 국가보위 입법회의 의원이었다는 점이, 정 전 의원은 98년 9월 경성비리 사건 당시 알선수재 혐의로 구속된 전력이 주요 사유가 됐다.

민주헌정질서 파괴자로 분류된 허문도, 허삼수 전 의원도 이번 명단에 포함돼 지난 1차 명단에 포함된 허화평 전 의원과 더불어 5공 당시 실세였던 '3허(許)'씨 모두에게 굴레가 씌어졌다.

이와 함께 장세동 전안기부장은 12.12 군사반란 사건, 88년 일해재단 관련 부패전력이 지적됐고 정호용.이학봉 전 의원은 12.12, 5.18 관련자로, 이상재 전 의원은 언론통폐합을 주도한 전력이 제기돼 결국 5공 핵심인사들이 모두 명단에 포함됐다.

국보위 및 국가보위 입법회의 관련자로 서정화(徐廷和.서울 용산) 의원과 나창주 유한렬 이종률 전 의원과 검찰 출신 인사로 최환 전 부산지검장이 포함됐다.

김길홍 전 의원은 선거법 위반 전력과 더불어 80년 8월 신문기자로서 '새 역사 창조의 선도자 전두환 장군'이라는 제목의 전면 기사를 4회에 걸쳐 게재한 전력 때문에 명단에 올랐다

한나라당에 입당, 서울 지역 출마를 노리는 김만제 전 포항제철회장은 부패전력(포철회장 재임시 공금횡령)과 국가보위 입법회의 참여 전력 등 2가지 사유가 적시됐다.

문민정부 당시 민주계 실세들이었던 김우석 전 내무부장관, 문정수 전 부산시장, 황명수 전 민자당사무총장의 경우 한보비리 연루자로 명단에 오르는 불명예를 안았다.

이철용 박희부 오탄 이동호 하근수 정태영 전 의원 등도 한보비리 관련자로 포함돼 한보비리는 단일사건으로 가장 많은 전.현직 의원들에게 '공천반대 명단'에 오르게 하는 멍에를 지웠다.

또 김문기(상지대 비리) 박진구 이돈만 이재근(국회 상공위 뇌물외유) 김형래 나창주 박은태(뇌물수수) 신순범(씨 프린스호 사건 뇌물수수) 신진수(횡령) 엄삼탁(슬롯머신) 이원배(수서비리) 최낙도(전북은행 대출비리) 전 의원 등이 부패전력으로 도마에 올랐다.

한편 15대 전.현직 의원을 대상으로 한 1차 명단에서 빠졌던 민주당 김태식(완주.수서비리) 홍문종(의정부.선거법위반), 한나라당 김종하(창원갑.골프외유.지역감정발언) 서정화(서울 용산.국보위 참여) 이강두(거창 합천.선거법위반) 하순봉(진주을.한보비리) 의원 등 6명이 새로 포함됐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