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97년 대선당시 홍석현 중앙일보사장으로부터 모그룹의 정치자금을 전달받았다는 주장이 정치권에 파장을 일으키며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부영 총무의 폭로에 이어 한나라당은 17일 "김 대통령은 차제에 지금까지 치른 4차례의 대선자금을 모두 공개하라"며 공세를 펴는 등 이를 정치쟁점화 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 남은 국회회기중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한편 정치자금과 관련된 공세를 내년 총선까지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한나라당 하순봉 사무총장은 17일오전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왜 언론사 사주가 돈을 전달했는지 의심스럽다"며 "언론사 사주가 단순한 돈의 전달자인지, 무슨 목적으로 야당지도자에게 돈을 줬으며 돈의 규모와 돈의 용처 등이 궁금하다"고 포문을 열었다. 하 총장은 이어 "김대통령이 이에 대해 직접 해명하라"고 촉구, 청와대와 여권을 겨냥했다.
한나라당은 16일 폭로된 사안이 정치자금법 개정 이전의 일이라 법적으로는 아무 문제될 게 없다 하더라도 이른바 세풍사건으로 야권의 97년 대선자금에 대한 공방이 거셌던 만큼 김 대통령의 정치자금 수수건은 여권에 엄청난 폭발력을 안겨줄 수 있는 호재라고 보고 있다.
한나라당 이사철 대변인은 17일 "정치자금법 개정전의 일이라 하더라도 받은 돈의 대가성 여부는 수사기관에서 밝혀져야 한다"며 "김 대통령이 정치자금의 내용과 규모 등을 공개하지 않는 것은 불법적인 부분이 있음을 시인한 것"이라며 공격했다. 한나라당은 이날 의원총회를 열어 이 문제에 대한 당론을 집결, 대여 공세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그러나 국민회의 등 여권은 당혹감을 감추지 않으면서도 홍 사장이 김 대통령에게 돈을 전달한 시점이 대선국면이었던 만큼 당시 여당인 한나라당에는 훨씬 많은 돈이 흘러들어갔을 것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야권의 대선자금 공세가 거세질 경우 여권은 당시 여당이던 한나라당의 대선자금에 대한 의혹 제기로 맞대응할 것이 예상돼 대선자금 공방이 정치권을 다시 뒤흔들 전망이다.
한편 국정원 측은 "야당의원이 주장한 대통령의 정치자금 수수 발언은 부분적으로 왜곡 인용된 것"이라며 "이번 총선에서 금권정치가 재현돼서는 안된다고 언급한 것이 와전된 것"이라고 해명하고 나섰다. 그러나 여권에서는 "천 원장의 발언 진의가 김대통령의 돈 문제가 깨끗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 하더라도 평지풍파를 일으킨 천 원장을 문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徐泳瓘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