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실시된 안성시장 및 화성군수 재·보궐선거는 옷 로비 사건 등에 따른 민심이반이 심각한 수준임을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다. 여권이 전통적인 강세지역으로 꼽아온 이들 수도권 지역에서 모두 완패한 것이다. 안성의 경우 국민회의 측 진용관후보가 한나라당의 이동희후보에게 20%정도, 화성에선 자민련 박윤영후보가 한나라당 우호태후보에게 14%정도나 뒤졌다. 이같은 여권 완패는 지난 6월 이후 용인시장 보선을 제외한 재·보선에서 거듭되고 있다. 지난달 서울의 6개 구의원 재·보선에서도 당선자 12명 중 자민련 측 내천자 1명을 제외하곤 공동여당 측 후보가 모두 패했다.
때문에 여권으로선 4개월 정도 남은 총선정국에 비상이 걸린 셈이다. 이같은 국면이 총선까지 이어진다면 정권 자체가 위기에 처할 수도 있다.
특히 이번 선거를 앞두고 국민회의와 자민련간의 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난맥상을 초래한 것도 주요 패인으로 지적되고 있다는 점에서 연합공천의 효과에 대한 회의감까지 일고 있다. 화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국민회의 측 지지도가 높은 곳임에도 자민련 박신원의원의 일방적인 공천으로 국민회의 측 인사가 무소속 출마하는 등 여권의 분열로 이어지게 됐다.
결국은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으며 특히 국민회의와 자민련간의 합당 불가피론이 세를 얻고 있는 형국이다.
같은 맥락에서 한나라당은 이번 재·보선에서 반사 이익을 거둔 측면도 적지않다는 분석이지만 일단 총선에 대한 자심감을 갖게 되는 등 고무된 분위기다. 이사철대변인이 "집권 1년여 동안 나라를 극도의 혼란으로 몰아넣은 김대중정권에 대한 엄중한 심판의 결과"라며 "우리 당은 새로운 천년을 맞아 새로운 각오로 국민들에게 다가갈 것"이라고 밝힌 데서도 드러나 있다.
徐奉大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