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풍 일단락 이후 정국 전망

입력 1999-09-07 00:00:00

세풍사건이 일단락되면서 정국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여권은 6일 검찰의 세풍수사 발표와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의 세풍사건 사과를 계기로 여야 총재회담 추진 입장을 밝혔고 세풍사건의 주역인 한나라당 서상목의원이 이날 의원직을 전격 사퇴함으로써 여야 관계 복원 분위기에 일조했다.여야가 지난 해 8월말 부터 꼬박 1년여 동안 '국기 문란행위'와 '이회창 죽이기'라며 사생결단해 온 세풍사건이 검찰수사와 서의원의 의원직 사퇴로 절묘하게 일단락되면서 여야는 조심스럽게 관계 복원을 타진하고 있다.

이같은 절묘한 주고받기식 세풍사건 종결에 대해 '빅딜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여야는 "이심전심이었을 뿐 적극적인 빅딜은 없었다"고 부인하고 있다. 즉 정기국회를 앞두고 특검제와 인사청문회법,선거구제 등 정치개혁협상 등 산적한 정치 현안을 풀어야한다는 현실적인 필요성에 의기투합했다는 것이다.

이같은 정국 정상화 분위기는 또 그동안 세풍사건으로 극한대립해 온 정치권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감도 한 몫 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청와대와 국민회의 등 여권은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이총재가 각각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정상회의와 미국,독일 방문을 마치고 귀국하는 대로 추석연휴를 전후해 총재회담을 추진한다는 방침이어서 성사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김정길 청와대정무수석은 "검찰의 세풍수사 결과 발표와 이총재의 대국민 사과를 계기로 여야 관계 복원이 기대되고 있다"면서 총재회담 추진 방침을 밝혔다.

이에 한나라당 하순봉총장도 "여권이 총재회담을 제의해 온다면 이를 거부할 이유가 없다"며 수용의사를 밝혔다. 이총재 측은 최근 민주산악회 재출범을 계기로 김영삼(金泳三)전대통령 측과의 충돌 등 당내 갈등 국면을 전환하고 이총재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서라도 총재회담을 적극 활용할 태세다.

한나라당은 또 특검제와 인사청문회 및 정기국회 의사일정을 연계시킨다는 강경전략을 바꿔 정기국회에 조건없이 임하기로 하는 등 관계 복원을 위한 분위기를 적극 조성하고 있다.

그러나 여야 관계 복원 및 정국 정상화를 가로막는 걸림돌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여야의 사활이 걸린 내년 총선이 얼마 남지 않은데다,지난 1년의 극한대치 과정에서 서로에 대한 불신이 깊어질 대로 깊어져 치유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다.

이같은 불신은 7일 열린 한나라당 주요당직자회의에서 그대로 표출돼 이사철대변인은 "김대중대통령과 이 정부에 대한 신뢰가 없는 상태에서 총재회담은 무의미하다" 면서 "우리 당은 총재회담을 제의한 적도 없고 수락할 의사도 없다"며 여권의 정국조기정상화에 제동을 걸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