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유도 대질신문 안팎

입력 1999-09-03 15:01:00

국회 조폐공사 파업유도 국정조사특위는 3일 진형구 전대검공안부장과 강희복 전조폐공사장, 구충일 전조폐공사노조위원장·강재규 전부위원장 등을 증인으로 출석시킨 가운데 대질신문을 벌여 조폐창의 조기 통폐합이 결국 파업유도 차원에서 이뤄졌다는 의혹과 검찰 지도부 및 청와대 측이 이 과정에 개입했는 지 여부를 집중 추궁했다.

야당 의원들은 특히 파업유도 의혹과 관련, 강전사장 증언에 따르면 진전부장이 구조조정을 하라는 등의 압력을 행사했다는 대목에 초점을 맞춰 이를 부인했던 진씨의 위증 여부를 따졌다.

또한 조폐창 관련 내부문건이 검찰총장 및 법무부와 청와대에도 보고됐다는 점을 지적하며 정부차원의 개입의혹도 부각시켰다.

그러나 진전부장과 강전사장 등은 이날 신문에서도 당초 주장을 되풀이, 진상규명에는 별 다른 성과를 얻지 못했다.

이날 신문에서 한나라당의 김재천·서훈의원 등은 강전사장을 상대로 인건비 50%절감안을 노조 측이 받아 들였다면 조기 통폐합이 철회됐을 것이라고 한 앞서의 증언에 대해"노조 측이 합의를 뒤에 번복하는 바람에 통폐합이 어쩔 수 없이 추진된 것처럼 보이기 위한 위증이 아닌가"라고 반문한 뒤 구전위원장에게 합의를 번복한 쪽은 누군가라고 물었다.

이들은 또한 조기 통폐합을 피하기 위해 애쓴 끝에 2001년이란 시한을 넣게 됐다고 밝혔던 대목과 관련, "다시 조기 통폐합 쪽으로 돌아선 데에는 기획예산위에서 지침을 내려보냈기 때문이 아닌가"라고 따졌다. 파업유도 의혹을 부각시키기 위한 질의인 셈이다.

같은 맥락에서 김의원은"앞서 증언에서 임금협상 대신 구조조정을 하라는 압력을 진전부장으로부터 받았기 때문에 조기 통폐합 쪽으로 생각을 바꿨다고 했었던 게 사실인가"라고 재확인을 요구했다.

김의원은 "진전부장의 구조조정 요구에 대해 파업유도로까지 될지는 몰랐다고 증언했던 것은 두 사람이 공모해 이뤄진 범죄임에도 자신은 빠져 나가기 위해 위증을 한 게 아닌가"라고 몰아 붙였다.

서의원은 진전부장에게"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7월부터 기획예산위가 조폐공사에 압력을 넣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 두 사람 차원을 넘은 정부차원의 개입이 이뤄졌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서의원은 또"문제의 폭탄주 발언 이후 강전사장에게 휴대전화기를 보냈는데 모두 몇 차례 통화했고 어떤 얘기를 나눴는가"라고 추궁, 사건 축소의혹을 제기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