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세 미만의 실업률이 급격히 상승해 일부 선진국 수준을 넘어섰다.
구조적 실업률도 외환위기후 크게 상승, 쉽게 회복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최근 노동시장 변화의 특징'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청년실업률로 정의한 15세이상 25세 미만의 실업률은 90년대 중반 6∼7%대에서 98년중 15.9%, 금년 1∼5월에는 16.9%로 높아졌다.
이는 미국 10.4%, 영국 12.3%, 캐나다 15.2%(이상 98년), 일본 6.7%(97년)를 웃도는 것이다.
청년실업률이 급상승한 것은 고용사정 악화로 노동시장에 새로 들어오는 청년층의 취업감소율이 확대된 데다 10대 남성이 가구주의 소득감소 보충을 위해 경제활동참여를 늘렸기 때문이다.
10대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97년 8.6%에서 98년 9.2%, 99년 1∼5월 10.1%로 증가했다.
실제실업률에서 경기순환에 따른 실업을 제외한 구조적 실업률은 외환위기이전 2∼3% 수준이었으나 98년 하반기 5%대, 올 1·4분기 6.6%로 상승했다.
이에 따라 외환위기 이전 선진국보다 훨씬 낮았던 구조적 실업률이 97년기준 미국(5.6%)과 일본(3.5%) 수준을 넘어섰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