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반응-"국면 전환 희생양" 예의주시

입력 1999-07-16 14:26:00

세풍수사 재개에 이어 임창열(林昌烈)경기지사 부인이 거액의 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되자 한나라당은 '제2의 사정이 시작됐다'는 긴장감속에 다각적인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다.

특히 한나라당은 이번 임지사 부부에 대한 검찰수사와 구속 및 지사직 사퇴 등 여권의 발빠른 대응수순이 사전에 치밀하게 기획된 것으로 보고 사정의 칼날이 야당 쪽으로 옮겨질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나라당은 또 비리혐의에 연루돼 기소된 소속 의원들의 재판이 속개되는 상황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국민회의 당직 개편에 이은 이같은 일련의 과정들이 'DJ의 청남대 구상' 에 따른 것으로 국면전환을 위해 제2의 사정을 재개한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새 정부 초기 정대철부총재를 먼저 사법처리한 것처럼 임지사를 희생양으로 삼은 뒤 곧바로 야당 지도부를 겨냥한 세풍수사와 광범위한 사정작업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한나라당은 또 제2의 사정이 본격화된다면 내각제 연내 개헌 유보에 대해 반발하는 충청권 일부 의원들의 이름도 오르내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내각제 논의를 마무리짓고 후속 정계개편 작업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내각제 세력에 대한 사전 정지작업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한나라당은 검찰이 세풍수사를 김태원 전재정국장을 구속하면서 김태호 전사무총장 소환설을 흘리자 "이번 수사는 단순한 세풍문제가 아니라 대선자금 전반에 대한 수사"라며 특검제를 통한 여야 대선자금 수사를 재촉구하는 배수진을 쳤다.즉 여권이 주장하는 세풍사건의 본질이 국세청을 동원한 선거자금 모금 방식인데도 검찰이 대선자금의 사용처 수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대선자금 전반에 대한 수사이자 야당 흠집내기 차원 아니고 무엇이냐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일단 옷 로비 사건에 이은 '임지사 사건'으로 김대중정권 집권층의 부정부패가 또다시 드러났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대여공세의 수위를 높이면서 정권퇴진도 불사한다는 전면전 자세를 누그러 뜨리지 않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