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창가도 관광 자원

입력 1999-07-15 00:00:00

대구 중구청이 윤락업소가 밀집해 있는 도원동 일대, 속칭 '자갈마당'을 관광자원으로 개발하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윤락의 사회적 인정'을 둘러싼 시비가 다시 불거지고 있다.

특히 대구시가 지난 96년 10월 이 일대를 이른바 '성인위락지구'로 조성하는 계획을 입안했다가 여론의 반발로 백지화한 바 있어 중구청 계획의 실현여부가 관심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대구 중구청 김주환청장은 14일 중구 도원동 일대 윤락업소 밀집지역의 건물이 대부분 노후, 화재 등 재해우려가 큼에 따라 현대식 건물로 개축을 유도한 뒤 장기적으로는 관광자원으로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구청은 이와 관련, 이미 지난 1월 개축에 대한 건물 소유주들의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를 했고 건물상태 등에 대한 조사도 마쳤다.

중구청에 따르면 이 일대 54개 건물 중 70년대 이전에 지어진 것이 31개로 전체의 절반이 훨씬 넘고 목조건물도 24곳이나 돼 화재 등 재해위험이 높다는 것이다.김구청장은 "북성로 일대 공구상이 유통단지로 이전한 뒤 북성로를 '제2의 동성로'로 조성, 상가를 유치하고 약전골목 등을 관광지로 만드는 것이 중구의 중장기 발전계획중 일부분"이라며 "북성로와 인접한 '자갈마당'도 현실적으로 없앨수 없다면 장기적으로 외국인 관광객이 찾을 수 있는 관광지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중구보건소에 의하면 14일 현재 중구 도원동 일대에는 57개의 윤락업소가 영업을 하고 있으며 윤락여성의 숫자는 약 430여명이다.

한편 대구시는 지난 96년 10월 중구 도원동 일대에 성인용 영화관과 섹스용품 판매점 등을 만드는 것을 골자로 한 '성인위락지구'조성안을 대구관광개발계획에 포함시켜 발표했다가 격렬한 반대여론에 떠밀려 나흘만에 철회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여성단체 한 관계자는 "성의 상품화를 행정기관이 주도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며 "시대착오적 발상을 즉각 중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崔敬喆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