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차 대책 마련 골머리

입력 1999-07-05 15:08:00

삼성자동차 처리 문제로 '부산 민심'이 악화되면서 정치 쟁점으로 떠오르자 정부는 물론 여야 정치권이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특히 삼성 측이 삼성생명 상장을 전제로 내놓은 '이건희회장의 사재 출연을 통한 삼성차 부채 처리와 법정관리 후 정리' 해법이 부산 민심 악화를 고려한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부산공장 계속 가동' 방침 천명과 '삼성생명의 연내 상장 유보'로 원점으로 되돌아 감에 따라 더욱 꼬이게 된 것이다.

이에 정부는 5일 오전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김종필(金鍾泌)총리 주재로 강봉균재경, 정덕구산자부장관, 이헌재금감위원장, 정해주국무조정실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구체적인 대책을 협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삼성차 부채는 삼성이 책임지고 처리해야 할 문제이며 삼성생명 상장과는 별개의 문제'라고 정리하고 '삼성차 부산공장은 어떤 방식으로든 정상화돼야 한다'는 입장을 정했다. 이금감위원장은 "정부는 한번도 삼성생명 상장에 대해 삼성 측과 협의한 바 없다"고 보고하면서 연내 상장 방침에서 발을 뺐다. 삼성차 부산공장은 대우가 인수해 정상가동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밖에 정부는 악화된 부산 민심을 달래기 위해 삼성 측에 별도의 대책을 내놓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삼성 측은 수원공장에 설치된 일부 가전공장 라인을 부산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 졌다.

여권은 부산 출신인 김정길 정무수석을 통해 부산 현지 민심 파악에 나서는 등 다각적인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어 주목된다.

지난 주말 '삼성차 특별대책위원회'를 구성한 한나라당도 대책마련에 전전긍긍하기는 마찬가지다. 5일 주요 당직자와 부총재단 연석회의에서 부산경제를 악화시킨 것은 정부의 어설픈 빅딜정책 실패에 따른 것이므로 정부가 책임져야 할 일이라고 지적하고 삼성차 특위를 확대한 '부산경제 특별대책위'를 구성키로 했다.

지난 주말 부산시장 및 시민단체 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진 부산시지부는 정부의 결정을 기다려보자고 설득하고 있으나 7일로 예정된 대규모 집회에 대한 입장조차 정하지 못하고 있다. 자칫 지역감정을 부추긴다는 비난을 받을 수 있는데다 김영삼(金泳三)전 대통령의 참석여부와도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徐明秀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