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 파이팅!-경북고-사회 전체 개혁이 '인권 해법'

입력 1999-06-04 14:19:00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하나의 사회에 속하게 된다. 사회는 구성원인 한 개인이 죽을 때까지 그의 삶에 깊숙이 관여한다. 언어, 욕구 충족 방법, 문화적 가치의 습득은 모두 사회가 인간에 영향을 끼친 것이다.

사회 구조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다면 구성원은 자신의 노력 여하에 따라 이상을 제대로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 구조 자체가 정의롭지 않게 되어 있다면 한 개인의 삶은 왜곡되게 되고, 그의 정당한 노력은 악을 초래하기도 한다. 제시문에서 네플류도프가 인식하고 있는 문제도 잘못된 사회와 선한 인간과의 관계에서 비롯된 것이다.

제시문에서 네플류도프는 두 죄수의 죽음을 목격하게 된다. 그러나 죄수를 죽인 사람은 드러나 있지 않다. 그 죄수들은 현지사로부터 시작되어 의사, 전옥, 호송 지휘관에게 차례차례 넘겨졌을 뿐이다. 아무도 죄수를 죽이려고 의도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분명히 죄수는 죽었고, 네플류도프는 인간의 존엄성이 짓밟히는 현장을 보면서 왜 이러한 일이 생겼나 고민한다. 결국 개개인은 선량한 인간이었지만, 그들에게 주어진 관직의 수행으로 인해 죄수들이 죽었다고 결론을 내린다.

네플류도프가 생각했던대로 이 문제는 개인에 그 원인이 있지 않다. 그들은 그들이 가진 지위에 맞게 행동했을 따름이었다. 이것은 그 사회로 봐서는 선이다. 그러나 그것은 뜻하지 않은 죽음이라는 악을 불러 왔다.

중요한 것은 그들이 하나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도중에 사람이 죽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사회가 부여한 임무에 따라 그들은 정해진 규정에 따라 다분히 기계적으로 일을 진행시켰다.

사람을 다루는 임무지만 그들은 마치 물건을 다루듯 죄수를 심사하고 호송했을 뿐이었다. 바로 사회 구조가 그들의 감정을 배제하고 업무를 처리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결코 개인적인 차원에서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개인이 사회 안에 존재하는 이상 개인은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를 하나의 지표로서 따를 수밖에 없다.

특히 인권은 사회와 사회 구성원 사이에서 존재하는 것이기에 사회의 영향이 더욱 크다. 우리 나라의 1960년대 이후 경제 발전이라는 미명 아래, 이에 부합되지 않는 노동권이나 인권을 탄압한 것도 사회적 가치에 의해 개인적 가치가 무시당한 예의 하나다.

이런 경우 한 개인의 자각만으로 상황이 반전되기 어렵다. 사회 전체적인 개혁만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개인의 도덕성에 앞서 사회의 도덕성이 전제되어야 하는 것이다.

네플류도프가 사는 사회도 사회적으로 인간의 존엄성이 중요하다는 공통된 의식이 널리 퍼지게 되어 법과 제도, 윤리, 도덕이 이러한 틀에 맞게 고쳐야 한다. 다시 말해서, 사회 구조를 바꿔야 하는 것이다.

개인이 모여 사회를 이루지만 사회는 선한 개인이 모인다고 해서 선한 사회가 되는 것은 아니다. 네플류도프의 사회의 경우, 인간의 존엄성 실현을 위해서는 개인의 의식 개혁도 필요하지만 바로 사회 자체의 개혁이 필요한 것이다.

사회 구조가 정의롭게 확립되어 사회 제도와 구조가 합리적으로 존재하고, 사회 구성원들이 이에 맞추어 나갈 때 인간의 존엄성이 실현될 것이다.

이은령(경북여고 3학년)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