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 로비 의혹 등에 대한 야당의 공세가 강화되고 있으나 여권은 뚜렷한 묘책을 찾지 못한 채 갈팡질팡하고 있다. 이보다 앞선 고관집 도둑사건과 국민연금 파동 등 올들어 각종 악재들이 잇따랐지만 여권의 대응책은 혼선을 거듭, 일각에선 정권 위기상황이라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청와대와 국민회의는 옷 로비 파문에 대해 무책이 상책이란 분위기에 휩싸여 있다. 맞대응할수록 오히려 파문을 확산시켜 여권에 불리하게 된다는 것이다. 정동영국민회의대변인이 28일 "IMF사태로 고통받고 있는 상황에서 물의가 일어나 국민에게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한 뒤"이번 사건을 계기로 공직자와 그 부인 및 가족들은 처신하는데 각별한 주의가 있어야 한다"고 자숙을 요청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일각에선 내부 비판론도 제기되고 있다. 여론의 밑바닥 정서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안이하게 대응해 왔다는 등 지도부를 겨냥하기 까지 했다. 한 관계자는 "올초 옷 로비설을 내사했었던 청와대 사정팀이 그 결과를 공개하기만 했어도 이같은 상황으로 내몰리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나라당의 이회창총재 부인 등이 문제의 고가옷 구입처 단골이란 설을 맞제기한 데 대해서도 졸속대응이란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게다가 여권은 진상을 조속히 밝혀야 한다고 거듭 요구하고 있으나 사정당국의 수사결과 관련 부인들에 대한 무혐의가 판명된다 해도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을 지를 장담하기 어려운 처지다.
무엇보다 고가 옷 의혹의 초점이 김태정법무장관 부인 쪽으로 쏠리고 있기 때문이다. 사건 당시 검찰총장이었고 현재는 법무장관인 김장관의 부인에 대해 검찰이 과연 수사를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지난 3월 재.보선의 50억원대 선거자금 사용 보도에 대해서도 혼선을 초래하고 있다. 사건의 책임소재를 놓고 전.현 지도부간에 설전까지 빚어졌다는 얘기도 들린다.
물론 해당 언론사인 한겨레신문에 대해 명예훼손 등으로 101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해 놓고 있으나 자칫 여론을 더욱 악화시킬 수도 있음을 우려, 주춤하고 있다. 옷 로비설과는 비교될 정도로 공식적인 논평을 자제하고 있는 데서도 엿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