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장외투쟁 내부서도 회의론

입력 1999-05-07 14:22:00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가 '정권퇴진투쟁 불사'를 선언하며 대여 초강수를 띄우자 여권이 "어이없는 일"이라며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한나라당 내 일각에서도 장외 강경투쟁에 대한 회의론이 일고 있다.

'제2 민주화투쟁'을 내세운 이총재의 6일 기자회견에 대해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이총재가 언제 민주화투쟁을 해 본 적이 있느냐"며 "김영삼(金泳三)전대통령의 표현을 그대로 인용, 현정부를 독재로 규정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공동여당은 국민회의 정동영대변인의 "정권퇴진운동 운운은 나라를 망친 한나라당 총재로서 도저히 할 수 없는 말"이라는 논평처럼 '일고의 가치도 없다'는 반응을 보이며 직접 대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총재의 대여 강경투쟁 선언에 의문을 표시하는 야당 인사들도 적지 않다. 한나라당내 비주류 인사들을 중심으로 한 강경투쟁 회의론자들은 "지금의 정국 상황에서 대여 초강경 투쟁노선이 성공할 가능성이 적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들이 총재의 노선에 의문을 감추지 않는 까닭은 최근 정국상황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비롯된다.

여권의 국정운영 미숙이나 독단적인 정국운영의 상당부분에 대해 "야당의 책임도 없지 않다"는 양비론적 시각을 보이고 있다. 야당을 무시하는 여권의 작태도 문제지만 이에 대응하는 야당의 방법에도 문제가 없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들은 또 "강.온을 막론하고 대여 투쟁의 성공을 위해서는 내부 결속을 먼저 다져야 한다"며 "당내 갈등을 제대로 추스르지 않고서는 정권퇴진투쟁은 선언에 머물고 만다"고 주장한다.

당 안팍의 다양한 목소리를 당 지도부가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는 한 대여 투쟁의 성공을 기대할 수 없다는 식이다.

게다가 정치개혁 협상 등 정치권의 태풍을 앞둔 상황에서 여권의 날치기 처리에 대해 여지를 남겨놓지 않고 초강수를 띄운 것에 대해서도 못마땅해 한다.

"강경투쟁 노선을 제대로 밀어 붙이지 못한다면 초강경 투쟁 선언은 되레 야권의 발목을 잡고 만다"는 생각이다. 지금까지 몇몇 사안에서 드러난 한나라당의 '뒷심 부족'을 우려하는 목소리들이다.

〈徐泳瓘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