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내수경기의 발목을 잡았던 소비위축이 올들어 급속히 풀리고 있다. 특히 일반 국민들의 소비심리 회복 여부를 보여주는 백화점 매출액, 소비재 수입규모 등 체감 소비지표는 IMF 이전 수준으로 근접하고 있다.
통계청이 집계한 백화점 매출액 동향에 따르면 올들어 2월까지 전국 97개 백화점의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1조9천82억원)보다 7.1%가 증가한 2조441억원으로 IMF 이전인 97년 1, 2월(2조449억원) 수준에 육박했다.
자동차 내수판매도 크게 늘어 현대자동차의 경우 올 1.4분기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6%나 증가한 12만1천946대를 팔았으며 대우와 기아도 각각 7만518대와 4만9천368대를 판매, 58.4%와 40.6%의 높은 신장세를 기록했다.
소비재수입도 늘었다. 1, 2월중 15억2천2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의 미미한 증가세를 보였던 소비재수입액은 3월 들어 5억7천800만달러로 증가율이 4.1%로 높아졌다. 특히 골프용품이 443.4%가 늘어난 것을 비롯해 휴대폰(388.7%), 승용차(176.5%), 담배(155.2%), 보석 및 귀금속제품(102.3%) 등 사치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처럼 소비심리가 호전되면서 여행객도 크게 늘어 올들어 2월까지 공항을 통해 출국한 내국인수는 62만2천846명으로 전년 동기(41만7천883명)보다 49% 늘었고 1일 고속도로 통행량도 1월에 8.4%가 늘어난 이후 2월에는 17.8%, 3월 14.3%로 높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소비증가세는 지난해 소비감소폭이 워낙 컸던데 따른 상대적 증가요인이 클 뿐만 아니라 주로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일고 있는 것이어서 소비심리가 전계층으로 확대되기까지는 아직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재경부 관계자는 "최근의 소비증가세는 고소득층에 국한된 현상으로 일부에서 제기하는 인플레 걱정을 할 단계는 아니다"며 "올해 소비가 계속 늘어난다해도 IMF이전 수준으로의 회복은 당분간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鄭敬勳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