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우회전 차량을 고려하지 않고 버스전용차로 무인 감시카메라를 설치했다가 주민 항의가 빗발치자 카메라 위치를 옮기기로 해 '탁상행정'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해 4월부터 4억8천여만원을 들여 동·서신로 일대 버스전용차로 6군데에 무인감시카메라를 설치, 운용해 왔다.
그러나 동구 신천동 청구고 부근 및 ㅇ주유소 앞길에 설치된 무인 감시카메라는 서로 인접한데다 우회전 차량에 대한 고려없이 설치돼 주민들의 항의가 일자 지난해말 부터 ㅇ주유소 앞길의 무인카메라를 작동시키지 않고 있다.
또 서구 비산동 경상여상 앞길과 서구 평리2동 ㅂ치과 앞길의 무인 감시카메라도 각각 버스정류장 및 인근 소방도로와 인접한 곳에 설치돼 효용성이 없거나 소방도로 진입차량 대다수를 적발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4월부터 지난 3월15일까지 1년동안 ㅂ치과 앞길 무인카메라에 적발된 차량은 모두 1천900여건으로, 이중 이 동네 차량이 100여건이나 됐다.
이와 관련, 대구시는 최근 세군데의 무인감시카메라를 재설치하기 위해 6천여만원의 예산을 추경에 반영키로 해 설치 당시 세심한 고려가 없었다는 지적이다.
서구 평리2동 주민 박모(45)씨는 "버스전용차로 위반여부를 살피는 무인감시카메라가 우회전 차량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설치되는 바람에 동네 3가구중 1가구꼴로 적발돼 어쩔수 없이 과태료를 내야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