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재회담 두고봐라" 창끝 곧세운 이회창"

입력 1999-03-06 00:00:00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가 5일 당무회의에서 여야 총재회담 개최와 관련해 갑자기 '강경'으로 선회한 듯한 발언을 했다.

이총재는 이 자리에서 "국민이 안심하는 방향으로 정국이 풀려 나가는 게 정상적 흐름이지만, 그렇다고 야당으로서 꼭 주장해야 하고 관철시켜야 할 우리 의견들을 적당히 타협해서 넘어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는 어떤 경우에도 관철시켜야만 하고, 여의치 않을 경우 우리가 할 수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나갈 것"이라며 "시끄러운 일이 없기를 바라지만 여기에는 여야가 성의와 신뢰를 갖고 임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하순봉(河舜鳳)총재비서실장은 "아직 여권이 정국정상화에 대한 진지한 자세와 성의가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가에서는 서상목(徐相穆)의원 체포동의안 처리유보, 10일부터 제 202회 임시국회 소집 등 그동안 총재회담의 걸림돌이었던 현안들이 해결돼 총재회담이 급류를 탈 것으로 관측됐던 상황에서 이총재가 강경발언을 한데 대해 한번더 '여권의 확실한 입장표명'을 요구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총재가 차제에 서의원 불구속기소 약속 등 자신의 운신을 제약하고 있는 '국세청 불법모금 사건'에 대해 말끔하게 정리해줄 것을 여권에 요구하는 메시지라는 풀이다.

본인의 입으로 직접 요구하기는 어렵지만, 여권이 알아서 정리해주기를 바라는게 아니냐는 얘기다.

다시 말해 여권이 '국세청 불법모금 사건'을 정리해주는 것만이 '이회창 죽이기'를 더 이상 하지 않겠다는 가장 확실한 보장이고, 자신을 국정 파트너로 인정하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조금 다른 해석도 있다. 여권에 대한 이총재의 불신이 워낙 깊어 여야간총재회담 실무협상 과정에서 야당 파괴를 포함해 어떠한 형태의 정계개편도 포기한다는 내용을 총재회담 합의문에 명시할 것을 요구하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김정길(金正吉)청와대정무수석은 5일 여야총재회담이 오는 10일을 전후해 열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이번 회담의 주된 의제로정치개혁 입법, 초당적 경제협의기구와 실업대책기구 구성, 남북 및 외교문제에 대한 초당적 협력 등을 들었다.김수석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설명하고 "그러나 회담이 열리면 합의문에 구애받지 않고 어떤 정치현안이든지 격의없고 허심탄회하게 서로의 입장을 설명함으로써 여야간 신뢰회복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수석은 "그동안 여야간 오해나 곡해, 현안에 대한 의견차이에는 신뢰부재가 바탕에 깔려있으므로 이러한 오해, 곡해 등을 풀기 위해 모든 정치현안이 예외없이 다 회담에서 걸러져야 한다"면서 "김대중(金大中)대통령도 이러한 생각을 갖고있다"고 전했다.

그는 또 지난 97년11월 정치자금법 개정이전의 정치자금 문제에 대한 '정치적사면', 정쟁지양선언 등이 논의될 가능성에 대해 "어느 한쪽이 제기하면 논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며 "논의 결과에 따라 합의문에 들어가는 것도 있을 수 있고,인식을 같이 해도 합의문에 들어가지 않는 것도 있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김수석은 특히 정치개혁 입법의제와 관련, "의원정수를 얼마로 줄일 것인가, 선거구를 소선거구제로 할 것인가, 중·대선거구제로 할 것인가 등도 논의될 수 있을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