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비리척결 의지 발표와 검찰의 본격적인 비리 수사에 농협이 술렁이고 있다특히 농협 내부에서는 감사원 감사, 정부의 협동조합 개혁, 검찰 수사가 '여론몰이식'이라는 조심스런 반발도 나오고 있다.
농협은 우선 감사원 감사 발표의 진위여부에 대해 억울하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감사원은 농협이 98년 3월까지 명퇴금을 지급하면서 최고 월 고정 급여의 13년6개월치를 줬다고 했다. 이에 대해 농협은 1956년부터 1998년까지 43년동안 근무한 한 직원의 퇴직금은 실제 5억원이 넘었으나 규정상 4억9천만원 이상을 지급할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97년에 시중은행 간부들이 퇴직급여금에 명퇴수당을 더한 액수가 6억~7억 됐던 것과 비교하면 오히려 적었다는 것.
또 농협은 명퇴금을 지급하면서 시중은행이 기본급의 50~60개월분을 수당으로 준 것과 달리 기본급의 24~42개월분을 준 것 뿐인데 감사원이 13년6개월치를 지급했다고 한 근거에 대해서도 의문을 나타냈다.
전체 임금 중 기본급이 27.6%에 불과하고 각종 수당, 복리후생비가 72.4%를 차지해 편법으로 임금을 올렸다는 것에도 농협 측은 다른 해석을 한다. 실제 중앙회에서 26년 근무한 차장급의 경우 기본급이 90만원에 지나지 않아 기본급 기준으로 충당하는 퇴직급여금이 타 금융기관에 비해 턱없이 낮다는 것이다.
회원조합 1천3백여개 중 6백40여개 조합이 자본잠식이라는 부분도 납득할 수 없다는 게 농협의 설명이다. 97년까지 대다수 조합이 법에 따라 예손충당금, 퇴직급여충당금 등을 채웠는데도 98년 감사에서 IMF 기준으로 수치를 맞추는 것은 타기관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나올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 자본잠식은 명확하게 경영부실에 대한 것이어야 하는데도 평가기준 변경에 따라 자본잠식을 논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항변하고 있다.
농협 한 관계자는 "적색거래처 대출도 건실한 중소기업이 자금지원을 받지못할 때 정부와 은행감독원이 적극 지원하라고 했다가 지금와서 감사원이 부실 대출이라고 지적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며 "검찰조사를 통해 사실이 밝혀지겠지만 지금 같이 여론몰이식으로 농협 문제를 봐서는 안될 것"이라고 했다.
농협 주변에서는 이번 기회에 상처를 완전히 도려내야 한다는 의견과 정치권 이해 관계 때문에 농협이 희생양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全桂完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