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따 공무원 설곳 없다

입력 1999-01-12 00:00:00

청소년들뿐 아니라 공무원 조직에도 '왕따'가 있고 이들이 공무원 사회의 구조조정에서 퇴출 0순위가 되고있다.

이같은 현상은 지방자치제 실시이후 공무원들에 대한 인사권이 대구시만 하더라도 광역단체인 대구시장을 비롯, 기초단체별로 구청장 군수들이 모두 갖고있어 시본청과 구청, 구청과 구.군청간인사교류를 위한 협의가 난항을 겪으면서 더욱 불거지고 있다.

대구시는 새해들면서 5급(사무관) 승진자를 포함한 중간간부 77명에 대한 승진및 전보인사를 단행했다. 지난해 10월초 행정조직 구조조정에 따른 국장급을 포함한 대규모 인사이동이후 3달만의인사다.

지난해 48명의 승진을 포함한 900여명의 간부급 인사때도 부구청장 인사가 특정인에 대한 집단거부로 난항을 겪는등 구청간 협의과정에서 '왕따'에 대한 거부로 인사가 어려움을 겪었다. 또 이번중간간부 인사에서도 특정인에 대해 특정구청에서 전입을 거부하면 지역공무원 사회에서 이미 알려진 개인적 단점들이 사실상 공개돼 다른 구청에서도 전입을 거부하는등 인사가 어려움을 겪어3달이나 끌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는 6급인 주사들에 대한 5급 사무관 승진에서는 서기관들의 조정과 직속상급자인 사무관들, 동료인 주사들의 심사를 거치는등 인사위원회 이전에 3차례나 조직내 동료및 상급자들의 공식 심사과정을 거치고 있다. 이때문에 조직내에서 융화하지 못하는 소위 '왕따'들은 승진에서 탈락할 수 밖에 없게 된다고 인사관계자는 귀띔했다.

이에따라 곧 있을 예정인 6급이하 하위직에 대한 인사에서도 특정인에 대한 비토는 구청간의 공통의견이 되기 십상이고 여기서 거부되는 인사들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퇴출대상자로 지목될 수밖에 없다고 간부들은 말했다.

〈李敬雨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