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부-유전자 조작 식품

입력 1998-11-24 15:04:00

동식물 유전자 쟁탈을 위한 제2의 제국주의 시대가 오고 있다. 선진 유전공학팀이 열대우림이나오지로 유전자 사냥꾼을 보내 개도국과 유전자 전쟁을 일으키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이에 대항하는 일부 나라들이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힘이 미치지 않고 있다.

특히 미국은 92년 리우회담의 '생물 다양성 협약' 비준을 거부, 유전자 해적 행위를 일삼고 있어세계적인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앞으로 '유전자 전쟁'은 '영토 전쟁'을 훨씬 능가할 것으로보인다. 94년 미국은 유전자 조작으로 껍질이 무르지 않도록 한 토마토를 처음 생산한 이래 옥수수· 콩· 감자· 면화· 유채 등 30여종 이상이나 조작, 판매하고 있다고 한다.이들 유전자 조작 식품은 식량 문제의 '백기사'가 될지, '악마의 꼬드김'인지 검증되지는 않았지만 소비자들의 반발이 심해지면서 프랑스·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등에서는 이미 판금되고,유럽의 많은 나라들도 그 표시를 의무화하는 추세다.

이미 최대 농산물 생산국인 미국에서 생산되는 콩의 30%, 옥수수의 25%, 면화의 40% 정도가 유전자 조작 곡물로 알려져 있다. 더구나 오는 27일 인천항에 들어올 수입콩을 선적지에서 검사한결과 30알 가운데 9알이 그런 품종임이 확인됐다고도 한다.

이제야 겨우 그 실태를 파악하는 단계인 우리에게도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은 '발등에 떨어진 불'이 아닐 수 없다. 선진국들이 유전자 조작 식품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잠재적 폐해의폭발성 때문이다.

농림부는 국정감사에서 이들 농산물에 대한 '표시제' 도입을 위한 법조항을 마련중이라지만 이는최소한의 조처에 불과하다. 유전자 조작 식품 공포를 씻기 위해서는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조속히 이루어지고, 안전지침 등 정부 차원의 철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