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스포츠과제-체육단체 정비

입력 1998-03-04 14:35:00

지난해 말 불어닥친 경제한파의 여파로 체육계 일각에서도 개혁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그동안 올림픽 등 굵직한 국제대회에서 풍성한 수확을 올려 호황을 누리던 체육계는 최근 기업들이 연을 맺고 있던 경기단체로부터 손을 떼거나 아예 기존 팀들을 해체하면서 생존의 틀이 점차붕괴되고 있는 상태.

88올림픽이후 우후죽순격으로 양산된 기존 체육관련 단체들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도 줄어들 기미여서 스포츠계에는 위기의식이 폭넓게 뿌리를 내리고 있다.

그러나 일부 뜻있는 체육인들은 이같은 스포츠 환경의 급격한 악화와 새 정부의 출범이 기존의안일한 틀을 깰 수 있는 호기라고 보고 신정부의 구상과 정책방향에 적잖은 기대를 걸고있다.대한체육회 가맹 46개 경기단체들 사이에 불고 있는 법인화 추진노력은 새 정부의 정책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별다른 자구 노력없이 거액의 보조금을 받으면 끝이라는 기존 가맹 경기단체들의 안일한운영방식은 경기인들 사이에 분쟁의 씨앗이 됐고 경영논리에 지배당해 해당종목의 균형발전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았다.

법인화를 통한 재정자립은 당장 규모가 큰 사업의 유치를 어렵게 하지만 해당종목의 저변확대를유도하고 장기적으로 생활체육의 근간이 될 수 있어 경기단체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장점이 있다.이와 함께 생활체육과 엘리트체육에 대한 명확한 역할 분담없이 중구난방식으로 운영돼 온 기존체육단체에 대한 구조조정도 신정부가 담당해야 할 몫.

국민체육의 기반위에 엘리트체육에 대한 지원이 이뤄져야 함에도 지금까지 생활체육은 엘리트체육에 비해 정책결정 순위에서 뒷전으로 밀려나 있었다.

그나마 지원주체인 국민체육진흥공단과 대한체육회, 국민생활체육협의회 등은 낙하산 인사의 산실이라는 비난속에 중복된 지원활동으로 생활체육 기반 확충의 효율성을 떨어뜨린게 사실이다.체육관련 부처의 기구 축소로 생활체육정책의 주도권을 민간에 이양하겠다는 뜻을 밝힌 새 정부는 이들 기존 단체들에 대한 적절한 통폐합 조처와 역할 분담으로 정책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