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銀 특융 득보다 실

입력 1997-09-22 14:55:00

"종금사 시큰둥"

부실여신 급증으로 자금난을 겪고있는 종금업계에 정부가 한은 특융을 통해 지원하겠다고 밝혔지만 대구지역 3개 종금사들은 득보다 실이 클것으로 보고 특융신청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있다.

진로.대농.기아 등 부도유예협약 적용기업에 대한 여신규모가 자기자본의 50%%를 넘어서는 19개종금사에 대해 총 1조원 규모의 한은특융을 지원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라 대구지역에서는 영남,대구, 경일종금 등 3개종금사가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

지역 3개 종금사들은 그러나 한은특융을 받을 경우 부실 종금사로 인식되는등 대외 이미지 손상이 불가피하고 경영권 포기각서 제출 등 지원조건이 까다로운데 비해 정작 예상 지원액 규모가작아 실질적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있다.

각 종금사에 배정될 특융 규모는 한국은행이 부도유예협약적용기업에 대한 대출 규모에 따라 액수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에 따라 대구지역 각 종금사들에 돌아갈 지원액은 1백억원 안팎에 그칠것으로 보인다.

지역종금사들은 이 정도 규모의 자금을 받아 회전시킬 경우 연간 2억~5억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되지만 대외 신용도 하락 등 마이너스 요인들이 더 클 것으로 판단하고있다.

이에따라 지난 19일 있은 종금사 사장단회의에서 영남종금이 한은특융을 받지 않겠다는 의사를밝힌것을 비롯해 다른 종금사들도 현재로선 지원 신청을 하지 않는다는 내부방침을 정한 상태다.지역종금사 관계자들은 "한은특융을 받아야 할 만큼 지역종금사들의 자금사정이 나쁘진 않다"며"따라서 지역종금업계에 대한 한은특융 지원은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金海鎔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