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콜라의 30년 아성이 흔들리고 있다.
지난 68년 한국에 상륙, 국내 음료시장의 '황제'로 군림하던 코카콜라가 요즘 최대의 위기를 맞고있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콜라시장에서 코카콜라의 점유율은 1월 75.9%%, 2월 75.2%%, 3월75.4%%, 4월 69.1%%, 5월 66.2%%로 4개월만에 10%% 포인트 가량 급락했다.
코카콜라의 추락은 국내 영업망에 커다란 구멍이 생겼기 때문이다.
미 코카콜라사는 그동안 두산음료, 범양식품, 호남식품, 우성식품 등 4개 국내보틀러사들에 국내생산 및 영업을 맡겼으나 올들어 이들 보틀러사의 생산시설과 영업조직을 인수, 국내 시장의 직접 통치에 나서고 있다.
코카콜라는 호남과 제주지역 영업을 담당해온 호남식품과 우성식품의 판매조직및 생산시설 인수에는 별 어려움이 없었으나 경북지역 영업을 맡아온 범양식품과는 법정분쟁까지 가는 소동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범양식품은 지난 3월부터 6월말까지 콜라 원액을 공급받지 못해 제품을 제대로 생산할 수 없었으며 최근 소송에서 이겨 연말까지 원액공급을 보장받았으나 이미 시장은 경쟁업체들에 거의 빼앗긴 상태다.
코카콜라의 아성이 흔들리는 다른 이유는 새로운 콜라들의 등장때문이다.
해태음료가 지난해 8월부터 미 코트비버리지사를 통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방식으로 '콤비콜라'를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퍼키콜라'를 자체 생산해 팔고있다.이밖에 한화유통의 '아메리칸콜라', 일화의 'RC콜라'가 등장했으며 올들어서는 커피맛을 가미한일화의 '카페콜라'와 웅진식품의 '해커스' 등도 선보이고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콤비콜라'의 경우 월매출이 연초 15억원 안팎에서 지난 5월에는 47억원으로 급증하는 등 눈부신 속도로 부상, 기존 콜라들을 위협하고 있다.
국내 콜라시장은 패스트푸드, 피자 등 외식시장의 팽창 등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시장규모가 지난 94년 3천1백32억원에서 95년 3천4백53억원, 지난해에는 3천7백20억원을 기록했으며 올해는 4천억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출 [전문]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