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대구지하철 1호선(월배~안심) 개통과 2호선(성서~고산) 착공에 때맞춰 이들 노선의 경북쪽 연장노선인 경산축과 영천축의 최적노선을 잠정결정, 오는 2005년 개통목표로 단계적 추진방침을 굳혔다.
공청회를 통해 잠정결정한 내용을 보면 곧 개통될 1호선의 종점 안심에서 영천까지의 연장 23.1㎞는 대구선의 복선화로 추진하고 2호선의 고산에서 경산까지의 연장노선 17.2㎞는 경산시 중앙부를 관통해 영남대를 거쳐 하양까지 순환하도록 한다는게 노선연장의 골격이다.또 이에 소요될 재원 1조원은 노선연장으로 수혜를 받는 대구시, 영천, 경산시에서 일부 분담하고나머지는 중앙정부의 지원금으로 조달한다는게 그 대강이다.
사실 대구지하철의 경북지역 연장문제는 이미 오래전부터 갖가지 형태로 거론돼왔고 대구와 인접한 시·군과의 교통문제를 원활하게 한다는 차원에서 공감대를 형성해 왔었다. 대구교통문제는대구자체에도 문제가 있지만 생활권이 같은 경산·하양·영천을 비롯해 현풍·성주·고령·칠곡·구미시와 인접해 있기에 이들 시·군과의 연계성을 무시하고 독자적으로 해결한다는건 사실상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사정으로 국도나 고속도로의 신설등으로 부분적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지만 대구를 직접 생활권으로 하는 경산·영천·성주·칠곡·구미시와의 교통연계문제는 현 교통체계로는 이미 한계를 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어떤 형태로든 그 해결책을 찾지 않을수 없는 형편이다. 출·퇴근시간대의 이들 시·군으로 통하는 국도는 만성적인 체증으로 이미 도로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느낌인데다 주말체증은 한걸음 더 나아가 '고통'의 개념으로 떠오르고있을 정도다.
그런데 이번 경북도의 계획안에는 경산·영천쪽의 동쪽노선만 거론함으로써 서쪽노선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다. 따라서 이 계획은 우선 동서균형개발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수 없다. 물론 대학촌이라 할 만큼 대학들이 밀집해 있고 포항방면의 물류증가로 경산·영천쪽도로의 교통전쟁을 우선해결한다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현풍을 지나 성주·고령쪽의 교통수요도이미 한계에 도달했고 칠곡·구미쪽도 경부고속도로를 마비시킬 정도로 심각한 지경이다. 더욱이앞으로 조성될 위천공단문제를 감안한다면 경북도의 지하철노선연장문제에선 당연히 대구의 서쪽편도 차제에 방침을 정했어야 했다. 이 문제는 자칫 이들 서쪽지역주민들의 반발요소이기에 경북도는 입안단계에서 이를 적극 고려, 서쪽의 교통문제도 함께 포함시켜야 한다. 이에 곁들여 재원문제등을 고려할 때 대구시와의 협의과정도 이 계획의 성사에 큰 문제인 만큼 시·도공조문제도무엇보다 선결과제인 점도 간과해선 안될 것같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