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밑 부도대란' 우려

입력 1997-01-04 00:00:00

--지역 중견업체들 도산 잇따라--

지역경제계는 새해벽두 명보섬유, 아이전자 등 중견업체들의 잇단 부도사태를 '설밑대란'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작년말 원천산업, 금성염직 등 중견섬유업체의 한차례 연쇄부도에 이어 섬유뿐만아니라 전자, 건설 등 전업종에까지 부도파장이 겹쳐 지역경제는 위기감이 극도로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지역경제계는 이번 부도사태에 이어 결제일이 몰린 이달중순과 월말, 그리고 최대 자금성수기인설밑까지 부도가 잇따를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지난 95년 5월 이후 지속된 섬유업종의 수출경기 악화, 주택건설경기침체등이 좀처럼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또 반도체값 급락 등 전자업종의 불황과 철강경기 급랭으로 구미, 포항 등 경북일원에도 특정업체의 부도소문이 난무, 지역경제의 위험수위는 높아만 가고 있다.

특히 섬유업계에는 명보섬유의 부도피해로 임하청료(5백억원 추정)를 받지 못한 영세 제직, 염색가공업체들의 연쇄도산이 예상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 업체들이 자금난을 호소하고 있으며 3~5개의 중견업체에는 부도설이 공공연히 나돌고 있는 형편이다.

이같은 위기에 대해 경제계와 정부 모두 속수무책이라는 점이 지역경제를 더욱 불안케 하고 있다.

작년말 연쇄부도 후 섬유업계는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요청, 정부가 신규대출자금 7백억원 등 모두1천1백억원 규모의 지원조치를 내렸으나 이마저 담보부족으로 자금난을 겪는 업체엔 별반 도움을주지 못했던 것.

이에따라 섬유업계는 최근 정부에 무담보, 저리자금 지원을 거듭 건의했으나 업계 스스로의 구조개선을 강조한 정부의 입장으로 볼때 추가 지원은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업계가 추진중인 구조개선사업도 코앞에 닥친 부도위기를 막기에는 불가능하다.

또 향후 경기도 불투명한 상태라 지역경제계의 불안감은 증폭되고 있다. 섬유의 경우 수출성수기인 3월 이후에도 떨어진 수출단가의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고 철강도 세계적인 불황국면에서 좀처럼 헤어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주택건설업체들도 올해 사업물량을 대폭 줄이는 등 경기침체의장기화를 예상, 복지부동 상태다.여기에 개정 노동법을 둘러싼 노조의 움직임도 업계의 어려움을가중시키고 있다.

모 직물업체의 경우 수출물량을 생산해놓고도 임금확보를 이유로 노조가 출하를 저지, 선적에 차질을 빚어 수억원의 손실을 보고 있다. 〈金敎榮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