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문화재계 결산-관리행정 총체적 부실

입력 1996-12-16 14:12:00

가짜국보 거북선총통사건과 문화재지정 금품수수사건 등으로 문화재 관리행정 및 학계의 문제점들이 여지없이 드러나 국민들에게 충격을 주었고 지역에서는 문화재보호를 둘러싼 경부고속철도 경주노선 갈등, 국보 문화재의 훼손과 보존대책이 국민적인 관심사로 떠오른 한해였다.지난 6월의 가짜 거북선총통사건은 '총통대란'이라 불릴 만큼 문화계 뿐만아니라 전국에 회오리를 몰고온 국가적 수치였다.

당국은 문화재지정절차 및 관련법규 개정작업과 함께 내년 문화유산의 해를 맞아 문화재 관련제도 전반을 점검한다는 대책을 내놓고 진화에 나섰지만 국민들은 다른 문화재에 대해서도 불신을 거두지 않고 있는 상태다.

지난 7월에는 ㄷ대 모교수가 무형문화재 지정과 관련하여 한 후보측으로부터 금품을 수수, 구속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무형문화재 기.예능 보유자 지정과정에서 적지않은 금품이 오간다는 소문을 확인시켜 국민들에게 배신감을 안겨줬다.

이같은 사건은 관련제도의 미비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문화재행정의 총체적 부실과 허술한 운영구조에서 불거져 문화재행정의 근본적인 재점검이 요구되고 있다.

1년여동안 논란을 빚어오던 경부고속철도 경주노선에 대해 당국은 12월초 확정하겠다던 약속과는 달리 지역여론, 문화재계의 반응을 살피며 무소신으로 일관해왔다. 최근 경주역사 위치가 상대적으로 문화재가 적은 건천읍 방내리로 내정됐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으나 이지역 역시 문화재보고인 만큼 치밀한 발굴과 경주남산 등 인근지역 문화재 보호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어느 노선으로 결정되든 고도 경주를 보호하면서 문화재보호때문에 짓눌려 온 지역민의 욕구를조화시키느냐가 과제다.

내년 문화유산의 해를 앞두고 석굴암, 성덕대왕 신종, 분황사 모전석탑, 안동 임하동 십이지삼층석탑, 안동 조탑동 5층탑 등 국보급 문화재의 훼손과 보존대책이 국가적 관심사로 떠올랐다."대대적인 보수 및 적극적 보존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심각한 지경에 이른다"는 학계의 주장과"자연적인 훼손이어서 수리를 하면 원형을 파괴, 오늘의 문화재가 아니다"는 문화재관리당국의주장이 논쟁을 빚었다.

뒤늦으나마 문화재 훼손이 국가적 문제로 부각돼 당국과 학계가 보존대책 마련에 나선것은 성과라면 성과다.

한편 올들어 경주 사라리 고분과 경산 임당 택지개발지구, 경주 황룡사지와 상주 마공리 삼국시대 고분군 등 원삼국 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물 수천여점이 발굴됐다.

〈李春洙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