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신한국당협의회

입력 1996-11-21 15:35:00

"野·무소속요구 [교섭단체]묵살"

정기회 개회를 앞두고 20일오전 열린 경북도의회 신한국당협의회 의원총회에서 후반기 의장단 선출과 관련, 협의회가 갖고있는 이중잣대가 그대로 드러났다.

협의회는 무소속 등이 요구한 교섭단체 구성을 후반기 의장단을 신한국당 뜻대로 선출하는데 걸림돌이 될 것 이라는 이유로 들어주지 말자고 결정했다.

협의회는 그러나 지난 11일 신한국당 도지부가 마련했던 의장 예비주자 오찬모임에 대해서는 당내 화합을 해칠 수 있는 민감한 문제인데다 현 집행부 임기가 남아 있으므로 일체 거론하지 않는다는 자세를 보였다.

의장단 구성문제가 사안에 따라 적극 거론됐다가 이내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변덕 을 보인 것이다.

협의회가 무소속 및 야당의원들이 요구한 교섭단체 구성을 유보시키기로 결정한 가장 큰 이유는후반기 의장단 선출에 대한 영향력 감소를 우려한 데 있다.

현재 협의회는 의회내 절대다수를 차지해 의장단은 물론 상임위 위원장 및 간사직까지 모두 뜻대로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섭단체를 허용하게 되면 무소속 단체가 구성될 게 틀림없고, 이에 따라 의회 운영도 협의제로 해야한다. 당연히 부의장이나 위원장 자리 한둘은 내줘야하는 것이다.

이에 앞서 김순견의원 등 무소속 및 야당의원 15명은 10인이상의 의원들로 교섭단체를 구성, 운영하자 는 내용의 규칙제정안을 이번 정기회에 의원발의로 제출했었다.

의장단 선출을 위해 라는 점을 명시하여 내세워 교섭단체 요구를 물리치자고 결정한 협의회는그러나 정작 내부적으로는 이에 대한 논의를 금지하는 모순을 보였다.

당 도지부가 지난 11일 의장후보로 거론되는 의원들과 모임을 가졌다는데 이에 대한 얘기는 왜전혀 해주지 않느냐 고 한 의원은 노골적인 불만을 터뜨렸지만 지도부는 묵살했다.결국 이 문제로 의회내 무소속 및 야당의원은 전체 신한국당 의원들에게 소외당하고 있고, 대다수 신한국당 의원은 일부 지도자급 신한국당 의원에게 무시당하고 있음이 증명됐다는 게 의회 주변의 평가였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