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협박에 흔들려서는 안된다. 북한은 15일 중앙통신과 강석주외교부 부부장이 미국무부 윈스턴 로드 동아태 차관보앞으로 보낸 서한에서 미국이 지난 94년 체결한 제네바 기본합의의 이행을 지연시키려 하고 있다 고 주장하면서 북한은 현재 동결상태에 있는 핵무기계획을 재개하겠다 고 위협하고 있다.
북한은 잠수함침투사건이후 북미관계및 남북관계가 경색국면으로 빠져들자 이의 타개책으로 그들이 형편이 어려울때마다 수시로 사용해 오던 벼랑끝전술 을 다시 구사하는것 같다. 북한은 최근공비사건이래 한반도 상공에 드리워진 먹구름의 원인이 그들 자신에게서 비롯되었음에도 그것은감추고 한국과 미국이 서로 공조연계하여 경수로사업은 물론 경협문제와 식량지원사업까지도 지연시키고 있다며 그 책임을 오히려 떠넘기고 있다.
북한은 우리는 경수로가 언제 공급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또 언제든지 공급중단가능성이 있는 중유만을 얻기 위해 핵계획의 동결을 유지할수 없다 고 밝히고 한반도 평화의 획기적 계기가 된북.미간 기본합의가 위태롭게 됐다 고 위협하고 나섰다.
북한이 이와 같은 벼랑끝 전술을 다시 들고 나온 배경은 한미양국이 북한의 사과및 재발방지약속없이는 경수로사업을 포함하여 대북접촉이 재개될수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기 때문에 고육지책으로 긴장고조카드를 들어 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외에도 북한은 오는 24~25일 마닐라에서 열리는 아.태경제협력체(APEC)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한일.한중정상회담이 연속으로 열려 북한을지금보다 더 심한 고립무원지경에 빠트릴까봐 미리 선수를 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북한이 핵합의 파기 란 최고의 히든카드를 내놓아도 현재까지 견고하게 유지되어 오고 있는 한미공조가 쉽사리 흔들릴 것 같지는 않다. 또 APEC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이긴 하지만 북한의 상투적인 위협이 한미양국을 이간시키기엔 강도가 약한 것 같다.
그것은 김영삼대통령이 최근 몇번이나 천명했듯이 북한의 진정한 사과와 재발방지약속이 없으면경수로는 물론 어떠한 지원도 하지 않겠다 는 강력한 의지가 크게 뒷받침하고 있다. 거기에다 무장공비사건과 관련 방한했던 로드차관보와 존 도이치 중앙정보국 국장등도 우리 정부의 견해에이해와 동조를 했기 때문에 북한문제는 사과없이는 다른 해법이 없을 것 같다.우리 정부는 마닐라 APEC회의에서도 평소 견지하고 있는 대북 강경방침을 그대로 밀고 나가 미.일.중 등으로 부터 협조를 얻어낼 계획이다. 북한은 사과하고 동참하는 길밖에 다른 길이 없다는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