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석탑이 많은 나라이다. 삼국시대에 불교가 들어온 이래 탑을 세우기 시작하여 조선에이르기까지 수많은 탑을 세웠다. 그 중에서도 석탑이 가장 많이 조성되었고 또 남게 되었다. 그래서 석탑의 나라 라고 하기도 한다.탑은 불교의 조형물로서 그 근원은 불교의 발생지인 인도로거슬러 올라간다. 어느 민족이든지 고유한 믿음이 있고 그러한 신앙에 따른 예배 대상이 있기 마련이다. 인도에서 탑의 기원도 불교 이전시대에서부터 그 뿌리를 찾을 수 있으며 불교신앙이 일어남에 따라 믿음의 대상으로서 많은 탑이 만들어졌다. 세계 종교로서의 불교가 각 지역에 전파되면서 교리에 따라 탑이 조성되지만 민족이나 지역에 따라 모양이 달라진다. 그것은 그 민족전래의 고유한 신앙을 포함하여 여러가지 토착적 요소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 전해진 불교 또한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면을 갖게 되고 불교의 조형물에도 그러한 것이 나타나게 되며 석탑은 그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전해온 양식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석조 건축물을 만들어 전통을 창조하였다. 종교의 차이를 뛰어넘는 우리의 산천에 어울리는 우리의 혼이 담긴 위대한 창조가 된 것이다.
탑을 세운다는 것은 행위자체가 지극한 믿음의 표현이며 완성된 탑은 그 믿음의 대상이 된다. 그러하기 때문에 탑의 조성에 삶의 모든 것, 생명까지도 바쳤으며 영원을 향한 순수함으로 우리의석탑을 이루어 내었다.
세월이 흐른 지금에도 이 탑들은 사찰안에 있거나 인적이 끊어진 산이나 들판의 어느 절터에 서있거나 간에 따뜻한 숨결과 힘찬 맥박을 느낄 수 있으며, 자랑스러운 살아있는 예술품이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