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실 창 밖이 상인동 가스 폭발 지점인 탓으로 사고 이후 이 네거리의 변화를 매일 보고 있다.몇달 뒤면 지하철 공사장 복공판을 철거하고 이곳엔 일년전 백명의 목숨을 앗아간 참사를 기억케하는 외부적 흔적은 사라질 것이다.
그동안 이 네거리에서 목격한 살풀이 굿만 해도 양손에 꼽을 정도다. 무당 박수의 징소리 가운데에 아이 엄마들은 이제는 안을 수 없는 아이 대신 붉고 흰 종이 꽃다발을 안고 두 팔을 떨고 있었다. 부끄럼 다 접어두고 거리에 선 어머니들의 못다한 애정과 박수의 징소리 가운데에 꽃잎은육화되어 아이의 목소리로 살아나고, 어머니들은 이승에 차마 못할 이별을 저승길에 이루고 있었다.
그 건널목을 지나 문구점에 볼펜을 사러 들른다. 좀 나은 걸 쓰려고 이것 저것 고르다보면 온통일제다. 애써서 고르지 않으면 국산이 손에 안 잡힌다. 일제라고 쓰인걸 피하고 비교적 낫다 싶은걸 골라와서 쓰다보니 한 귀퉁이에 일제라고 쓰여 있기도 하다. 글을 익히는 어린 나이에 쓰는학용품에서부터 부실한 국산품은 우리 아이들의 맘을 상해 놓고 있다.
언제부터 부실이 만연하였는가? 오래된 서원이나 사찰을 찾아 보면 그 정교한 짜임새가 자연과어우러진 가운데 어디 하나 허점이 없다. 석굴암과 청자 백자와 고문헌의 정확, 정묘함. 그냥 기계적인 정교함이 아니라 혼이 깃든 예술이다. 이 전통은 오늘날 우리곁 어디쯤을 흐르고 있을까?그 전통의 단절이 상인동 참사를 일으킨 총체적 부실의 원인이라면 이 큰 희생을 모두 함께 부끄러워하며 저 어머니들의 살풀이에 참례하는 심정으로 되살려야겠다. 또한 침략을 통해 이 전통의단절에 큰 원인 제공을 하기도 한 일본이 만든 물건들을 쓰게될 때에는 통렬한 경각심을 가져야할 것이다.
정신과 전문의 최태진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