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부

입력 1995-05-16 08:00:00

▲"6월항쟁후 민주화를 위한 후속조치인 개헌과 선거과정에서 정당 엘리트들의 역할이 두드러졌다는 점에서 한국의 민주화 과정은 대중 주도형이 아닌 엘리트 주도형이라고 할 수 있다"고 밝힌 박재윤통상장관의 IPI총회 연설문 삭제소동이 뜻있는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한술 더 떠서 박장관은"4·19혁명은 대중이 주도했지만 6월 항쟁은 대중이 시작한뒤 정당 엘리트들이주도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는 말도 했다. 또 그는 이것이 정치학 교수들로 구성된 팀에서 내려진 평가라고 밝혔다. 한국의 정치학자가 한두명도 아니고 수백명이나 되는 상황에서 어떤 부류들로 구성된 팀에서 내려진 평가인지는알수 없다. 그러나 한나라 장관이 특정 학자집단의 평가를 이렇게 아전인수격인용을 해도 무리가 없단 말인가. ▲6월항쟁 자체는 그만두고 박장관 말대로 '후속조치'만이라도 꼽아보자. 당시 가장 큰 관심이었던 13대 대선은 야당의 사분오열로 참패했다. '두김씨'의 대립은 적전분열에 다름아니었고 결과적으로는군부세력에 합법적으로 정권을 헌상하는 꼴이 되고 말았다. '두김씨'는 민주화를 그르친 죄인으로 매도되기까지 했다. ▲그뒤 치러진 총선은 또 어땠는가.선거법 협상에서 야당은 자파의 이익에 따라 대·중·소선거구제를 오락가락하는 추태만 보여주었음을 국민들은 아직도 잊지 않고 있다. 6월항쟁이 미완으로끝난 가장 큰 걸림돌이 정당엘리트를 자처했던 모리배들이었음을 박장관은 아는지 모르겠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