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주사 고사직전-자도주 50% 부활을

입력 1994-08-25 00:00:00

지방소주업계가 도산위기를 맞으면서 재벌기업의 소주시장 독과점방지를 위해 {자도주 판매비율 50%} 규정과 원료주정배정제도가 부활돼야 한다는 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지방소주업계사장단은 25일 성명서를 발표, 정부가 소주의 원료 주정배정제도를 폐지한지 2년도 안돼서 소주시장의 50%를 진로가 독점하고 두산이 경월소주를 매입하여 30% 점유를 목표로 판매지역을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어 지방소주업체들은 심각한 존립위기를 맞고있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소주업계의 과당난립을 막기위해 {1도 1사}원칙을 지켜 어느업체도소주시장을 독점하지 못했으나 92년말로 원료배정제도가 폐지되자 진로의 시장점유율은 42%에서 50%로 높아졌고, 후발주자인 두산의 시장점유율도 경월소주 인수시에는 5%에 불과했으나 7월말 현재 7.44%로 늘어나 결국 지방소주사들은 소주시장에서 20%에 달하는 점유율을 양대재벌에게 뺏긴 셈이다.이같은 현상이 빚어지게 된 것은 진로가 맥주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진로소주를 무기화하고 있고 두산은 그린소주 판매를 위하여 맥주를 무기화하는등 양대재벌이 무제한 밀어내기를 강행, 지방소주업계는 기업존립에 필요한 최소한의 판매마저 봉쇄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방소주사들은 {주류시장의 60%를 맥주가 차지하고 소주점유율은 20%에 불과한 현실에서 맥주를 생산하지 않는 지방업체가 맥주로 무장한 양대재벌과자금및 조직에서 열세이기 때문에 자유경쟁으로 살아남을 여지는 없다}며 국민대다수가 즐기는 대중주 소주시장의 독과점방지를 위해 자도주 판매비율을50%로 규정할 것과 원료배정제도의 부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한편 세계 각국은 대중주가 독과점될때 발생하는 독점가격의 횡포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대중주의 독과점을 용납하지 않고 있으며 담배 화약과함께 별도분류하여 엄격히 통제하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