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원 34곳 조사**이태리산 모직물류의 수입급증으로 국내업체가 어려움을 겪고있는 가운데 대부분의 모직업계가 영세성, 인력부족과 함께 기술개발, 정보활용에 미흡한 상태로 영업활동을 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의 결과로 모직물업계의 생산원가는 인건비가 무려 48.9%를 차지하고있고연구개발비는 염가공업의 경우 불과 1.5%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섬유기술진흥원이 진흥원회원사인 34개 순수 모섬유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집계한 경영실태조사에 따르면 94%에 해당하는 업체가 내수시장과 연계돼있으며 소기업(58.8%), 자본금7억원이하(79.6%)의 영세성을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종업원 51명이상의 업체는 17.6%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같은 영세성으로 기술개발비 책정도 미흡해 총매출액 대비 3%를 투자하는업체는 20.6%(7개)이며 47%(16개)는 아예 기술개발비를 거의 책정하지 않고있다.
그러나 평균판매 신장률은 지난해 경우 전년보다 38%가 늘었고 올해 목표도28.1%성장으로 높게 잡고있어 소재의 고급화및 다양화, 작업관리의 개선등만해결하면 모직산업의 미래는 밝다고 여기고있다.
한편 인력 부족은 모직업계도 다른 업종과 같은 사정으로 올해의 인력부족률은 남자9%, 여자 3.7%등 평균 6.3%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에 모직업계의 관심분야는 설비분야가 가장많고 시장동향 신소재등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