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와 경북도의회가 지역개발등 공통현안을 논의하고 지역의 뜻이 중앙에 반영되도록 공동노력하는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가칭 {광역의회협의회}를내년초 구성할 움직임이다.이 광역의회협의회는 지방자치제 실시이후 지역이기주의의 기승과 이에따른지역개발 지연등 역기능을 해소하는 길을 트는 것은 물론 유명무실해진 광역행정협의회와의 상호보완기능까지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주목되고 있다.대구시의회가 현재 구상중인 광역의회협의회는 의장단 3명과 상임위원회별로1-2명씩 모두 10명안팎으로 구성하며 정기 월례회의와 특정 사안을 논의하는임시회의를 수시로 개최, 상호 협조와 타협의 길을 모색한다는 것이다.이 협의회의 대전제는 주민의견을 수렴해 의정활동에 적극 반영한다는 것.이 경우 대구권 행정구역조정등 현안은 의외의 해결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것이란 기대다. 또 도로건설등 도시계획, 쓰레기 매립, 공단조성, 지하철노선연장등 행정기구간의 비협조로 어려움을 겪거나 어려움이 예견되는 문제도타협등을 통해 합일점에 도달할 수 있을 전망이다.
광역의회협의회는 광역행정협의회와 비교해 행정의 경직성을 탈피하는 이점이 있으며 중앙의 조정없이 지역현안을 자체해결하는 기구로 성장하게 되면여타 지역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의회 김상연의장은 [적당한 시기를 택해 경북도의회에 협의회 구성을제의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