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난국타개하는 정치력을

입력 1993-12-07 08:00:00

쌀수입개방으로 온통 민심이 들끓고 있다. 막판까지도 {개방절대부가}를 외치던 정부가 국민을 이처럼 속인데 대한 분노와 배신감을 떨쳐버리지 못하고있다. 드디어 농민단체를 비롯한 각종 사회단체들이 개방반대 저지운동과 항의시위에 나섰고, 이러한 사태의 진전은 정국의 앞날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그런데 우리 정부나 정치권은 지금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청와대를 위시한 정부당국은 뚜렷한 대안도 없이 엉거주춤한 상태이고 국회마저 여.야가 대립한채 공전하고 있다. 난국을 타개해야 할 정치권이 과연 이래도 되는 것인지 반문하지 않을 수 없다. 서로 머리를 맞대고 대책을 강구해도 시원찮은 판에 갈등과 분열상을 노정하고 있으니 안타까울 따름이다.

그렇다면 정치권이 지금 서둘러야 할 일은 무엇이겠는가. 우선 정부.여당은솔직하게 국민앞에 사과하는 자세부터 보여야 한다. 쌀수입개방을 허용하지않을수 없었던 불가피성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진지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그런데도 누구하나 책임있는 얘기를 못하고 사태가 진정되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이처럼 시간벌기에만 급급한다고 민심이 수습되리라고보는가.

야당 또한 마찬가지다. 쌀개방의 책임을 추궁만 할뿐 그 후유증을 최소화하기위한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있다. 국회가 제 구실을 못하고 공전을 거듭하고있는 까닭도 여당에게 있다고 내세우기만 하면서 예산안처리등을 미루고있다. 정치의 본령이 위기에 봉착했을때 이를 타개하고 흩어진 민심을 수습하는데서 찾아져야 한다고 볼때, 우리 정치권은 본분을 망각하고 있다고밖에 여겨지지 않는다.

지금 우리는 날로 어려워지는 국제환경속에 놓여있다. 온갖 도전과 시련이밀어닥치고있고, 여기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권확보라는 절박한 과제와 직면하고있다. 그렇다면 이를 극복하기위한 국민적 합의와 지혜로운 대처는 그 어느때보다 절실히 요구된다. 그 향도적인 역할은 응당 정치권의 몫이다. 이같은대명제를 정치인들이 망각하고 정국을 대결국면으로 몰아간다면 그것은 곧국가의 진운을 오도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그 해악은 국민에게 돌아갈 뿐이다.여.야는 더 늦기전에 정치력을 복원, 국회부터 정상화시켜야한다. 야당의 경우 장외투쟁으로 사태를 악화시키는 무리수는 자제해야한다. 국민들이 어떻게생각하고 정치권에 무엇을 바라고있는가를 꿰꿇어봐야한다. 특히 쌀개방으로흐트러진 민심을 수습하는 일에 중지를 모아 위기를 극복하는 진지한 노력을보여줘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