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년 단체장선거등 전면적인 지자제 실시와 {대구시}란 명칭의 변경을 앞두고 생활권에 맞춘 행정구역 조정및 행정기구 개편이 불가피 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현행 대구시 행정구역및 행정기구는 직할시 개념에 맞춘 것으로 대구시가 행정효율등을 고려, 대구도(대구도) 또는 대구부(대구부)등으로 광역자치구역화할 경우 산하에 자치시.자치구를 포괄하는 행정기구로 개편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같은 주장은 95년상반기 광역자치단체장선거가 실시되고난 이후엔 지역분리주의및 정치적 이해관계가 심화돼 행정구역조정이 거의 불가능해진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특히 대구시 경우 행정구역이 좁아 행정효율이 떨어지고 인근시군지역과의연계개발에 차질을 빚고있어 정치 행정적 이해관계보다 지역개발을 우선하는행정구역 조정이 절실한 실정이다.
현재 대구시및 대구인근 지역민들은 경산시(6만6천명), 화원시 (현재 화원읍3만명), 안심시(현재 하양읍 3만명)등 3개지역을 대구의 위성도시로 편입시키는 방안이 집중 검토돼야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이들 3개지역은 생활권및 교육권이 대구로 집중되는데다 가용토지개발.광역도시계획의 일관성 확보등의 차원에서 대구 자치시의 일원으로 편입되는게 바람직하다는 의견들이다.
이밖에 달성군 가창면 다사면 하빈면, 경산군 남천면 압량면, 칠곡군 지천면동명면등도 인구및 경제규모에 맞춰 자치시 또는 자치구로 흡수하는게 지역개발상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지적을 받고있다.
대구시등 행정실무관계자들은 행정구역 조정의 가장 큰 난점이 국회의원 선거구 조정, 행정기관의 지역분리주의라고 말하고 지역개발의 대승적 차원에서행정구역 재편이 이뤄져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