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농약사용시비에 휘말리고 있는 콩나물을 두고 식품이냐 채소냐등의 명확한 성격규정이 돼있지 않고 관장하는 기관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로인해 서민의 주요식품의 하나인 콩나물이 재배업자들 모임의 법인화, 재배에 필요한 각종약품사용 규정이 마련되지 않는등 효율적인 관리가 되지않고있는것.현재 콩나물은 성격을 두고 농림수산부와 보사부간에 엇갈린 입장을 보이고있다.
농림수산부는 "콩나물은 밭에서 재배하는 작물이 아니라 공장에서 생산하는제조식품이므로 보사부가 감독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보사부는 "콩에 물을 주어 재배하는 채소류이므로 농림수산부가 관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채소로 인정되면 생장조절, 발아촉진제등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식품으로 규정되면 엄격한 규제가 따른다.
콩나물 재배업자들은 "육류등 인기품목은 서로 자기소관이라고 우기는 공무원들이 콩나물은 '부수입'이 없어서인지 배척한다"고 꼬집고 있다.소관부처가 없으니 제조업자들이 모여 자체적으로 농약사용등을 심도있게 다룰수 있는 사단법인체 설립도 불가능하다고 밝히고 차제에 콩나물성격 규명및재배방법등에 대해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채업자들은 이들의 의견을 모은 진정서를 곧 당국에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유야 어떻든 대구서만 하루 5만kg이라는 엄청난 양이 소비되는 콩나물이전혀 감독을 받지않고 팔리고 있다는데 대해 가뜩이나 믿고먹을 것이 없다는시민들에게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는 셈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