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내년도 국가투자예산 확보를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서고 있다.
경북도에 따르면 현재 정부 예산안은 상임위 심사를 마치고 예결위·본회의 절차만을 남겨두고 있다. 국회의 예산 심사 법정시한 종료일은 다음달 2일이다. 도는 예결위 심사기간이 국회 증액의 '분수령'으로 보고 지역의 현안 사업의 내년도 예산 반영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철우 도지사는 이날 행정부지사·경제부지사를 비롯해 도청 전 실·국장 간부들에게 예산안 증액을 위해 즉각적 국회 대응을 지시했다.
국회 단계에서 증액은 정부의 동의도 반드시 있어야하는 만큼 도는 기획재정부와 실무 협의와 소통을 강화해 증액 가능성을 높이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도는 지역 주요 현안 사업인 ▷영일만횡단고속도로(포항~영덕) 건설, 1천715억원을 비롯해 ▷APEC 레거시사업(문화의 전당 조성), 14억원 ▷산불피해지 피해목 벌채 300억원 ▷산불피해 공동체 회복 거점센터 건립 시범사업 70억원 ▷산림미래혁신센터 조성 4억5천만원 ▷산림에너지자립마을 조성 10억원 ▷수요확대형 배터리 테스트베드 구축 60억원 ▷AX 자율제조·사이버융합보안 실증지원사업 17억원 ▷나곡매립장 확장 12억7천800만원 ▷구미~군위간 고속도로 20억원 ▷문경~김천 철도 70억원 ▷고령 세계유산 탐방거점센터 건립 1억4천만원의 국비 증액을 건의했다.
이 도지사는 지난 9월 국회를 찾아 우원식 국회의장, 이학영 부의장,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임이자 기획재정위원장 등을 만나 국비 확보를 위해 노력했다. 또 2차례 당정협의회와 예산정책협의회를 연이어 개최하는 등 도정 핵심사업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도는 지난달 23일 정부 예산안 국회 심사에 대응하기 위해 박형수 의원실에 '국비확보 캠프'를 설치하는 등 현장 중심의 대응 체계를 강화했다.
이외에도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과 국회 예결위원 및 지역 국회의원들과 여러 소통 창구를 통해 긴밀한 접촉을 유지하는 등 경북의 핵심 현안 사업과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국비 반영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적극적 협조를 요청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국비 확보는 재정이 열악한 경북의 생존이 걸린 사안인 만큼 마지막까지 주요 현안 사업들이 최대한 반영되어 예산과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