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정책연구원 "수도권은 회복세에 상승, 지방은 하락…집값, 내년 양극화 심화할 것"

입력 2025-11-25 17:03:49 수정 2025-11-25 19:28:15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25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25일 '2026년 건설·주택 경기전망 세미나'를 열고 수도권과 지방간 집값 양극화가 심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제공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하 건정연)이 수도권과 지방간 집값 양극화가 내년에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건정연은 25일 '2026년 건설·주택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수도권은 구조적 공급 부족과 매수 심리 회복으로 주택 시장이 2~3% 내외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지방은 수요가 위축되면서 소폭 하락하거나 보합에 머무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올해 주택 시장에 대해선 수도권은 상승하고 지방은 하락·정체 상황이 펼쳐지며 양극화가 심화했다고 진단했다. 매수심리는 물론 거래량과 가격 모두 수도권 지역의 경우 회복세를 보였으나, 지방의 경우 미분양 물량이 쌓이고 수요 심리마저 위축되면서 하락·보합 상황을 좀처럼 벗어나지 못했다.

이런 흐름은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고하희 건정연 부연구위원은 "수도권은 착공 감소·PF 리스크·3기 신도시 지연 등 구조적 공급 부족이 이어지면서 2~3% 수준의 상승세가 예상된다"며 "지방은 인구·수요 기반 약화로 1% 내외 하락 또는 보합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한편, 건정연은 올해 건설투자가 지난해보다 약 9% 줄어든 264조원 수준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금리 인하 기대감, PF 불확실성 감소, 공사비 안정, 이익지표 개선 등 우호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으나, 착공 감소 등 누적된 선행지표 부진과 지역 건설경기 양극화, 안전 규제 부담이 여전히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는 진단에서다.

내년 건설투자는 약 2% 증가한 269조원으로 제한적 반등에 그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또 전문건설업 계약액 역시 2025년 7% 감소 후 2026년 4% 증가하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이며, 이는 공종별 회복 속도 차이와 지방 전문업체의 경영 부담이 지속되는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박선구 건정연 연구위원은 "금리 인하 기대감, PF 불확실성 감소 등 일부 우호적 신호가 있지만 착공 감소 등 누적된 선행지표 부진과 안전 규제 부담이 여전히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