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메디허브, 광주과학기술원과 대장암 등 난치성 암 분야 면역함양제 반응률 높일 후보물질 개발

입력 2025-11-19 16:41:07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7K 화학구조식(좌측)과 암세포와 면역세포에서의 PD-L1/PD-1 발현 억제효과(우측). 케이메디허브 제공
7K 화학구조식(좌측)과 암세포와 면역세포에서의 PD-L1/PD-1 발현 억제효과(우측). 케이메디허브 제공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전임상센터와 광주과학기술원(GIST) 연구진이 아릴하이드로카본 수용체(AhR)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새로운 면역항암 후보물질을 발견했다고 19일 밝혔다.

아릴하이드로카본 수용체는 신체의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암세포가 면역 공격을 피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하는데, 최근 연구에서 이 수용체를 억제하면 면역세포의 항암 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돼 면역항암제의 유망한 표적으로 주목된다.

전임상센터 신약평가팀과 광주과학기술원 연구진은 아릴하이드로카본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신규 피라졸로피리미딘(Pyrazolopyrimidine) 계열 화합물군을 설계하고 비임상단계에서 그 활성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화합물군 중 '7K' 화합물은 수용체에 대한 강력한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경구 투여 시 높은 생체이용률(71%)과 반감기를 나타내는 등 우수한 약동학적 특성이 확인됐다.

또또 7K 화합물은 대장암 세포주에서 아릴하이드로카본 수용체 관련 유전자와 PD-1/PD-L1 면역회피 경로의 발현을 억제하는 동시에 정상 대장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선택적 항증식 효과를 보여 면역항암 병용치료로써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박구선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대장암 등 난치성 암 치료 분야에서 면역항암제의 반응률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기전의 후보물질이 개발된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이번 연구를 계기로 다양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의 발굴과 신약개발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 소식은 국제학술지 '파마슈틱스'(Pharmaceutics, IF=5.4)로도 전해졌다.

※생체이용률 = 신체에 흡수되어 전신순환에 도달하는 약물의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