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철고 학기 중 '1급 발암물질 석면' 철거공사 진행…환경단체 "있을 수 없는 일"

입력 2025-11-18 17:17:07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소량만 노출되도 지명적인 암 유발…학교 측 "불가피한 상황…안전하게 공사하겠다"

18일 오전 포항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들이 포항시 남구 지곡동 포항제철고 앞에서 학교 측의 학기 중 석면텍스 철거 공사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배형욱 기자
18일 오전 포항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들이 포항시 남구 지곡동 포항제철고 앞에서 학교 측의 학기 중 석면텍스 철거 공사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배형욱 기자

경북 포항지역 자율형 사립고인 포항제철고가 학기 중 교내 건물에서 석면텍스 철거 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을 빚고 있다.

18일 포항환경운동연합 등 지역 환경단체에 따르면 포철고는 지난 9월 20일부터 29일까지 교내 건물인 관리동(1동)에서 석면 철거 작업을 진행했다. 또 지난 16~17일도 특별동 1층 인쇄실 등에서 건물 내 석면을 철거했다.

이들 공사 기간은 모두 학기 중으로, 학생과 교직원들이 학교에서 활동하는 동안 진행됐다.

석면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규정한 1급 발암물질이다. 소량 노출만으로도 치명적인 각종 암을 유발할 수 있다. 환경단체 측은 석면텍스 철거 공사가 진행될 경우 각종 안전장치를 철저하게 한다고 해도 분진 등 공기 중 노출로 인한 위험이 높다는 점을 들어 학교 측이 학기 중 공사를 진행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학생과 교직원이 매일 생활하는 학기 중 석면 해체 공사를 했다는 것은 매우 심각한 사례"라며 "석면공사 시 학생과 교직원의 안전 확보를 최우선으로 하고 사실상 방학을 활용해 공사를 하라는 교육부의 지침에도 정면으로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제라도 학기 중 석면 철거 시도를 당장 중단하고 석면 노출 우려가 적은 방학 때 모든 건물에 대한 공사를 한 번에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환경단체 측은 포철고가 지금껏 석면 철거작업을 미루다 뒤늦게 교육부의 '무석면 학교' 방침 데드라인인 2027년이 가까워오자 공사를 서두르는 탓에 이런 일이 벌어진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했다.

교육부는 2014년쯤부터 석면 건축물이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석면 해체·제거 공사를 하는 사업을 추진했으며, 2027년 사업 완료가 목표다. 기간 내에 끝내지 못한 학교에 대해선 석면 미철거 표시를 교문에 설치하는 등 페널티도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침귀 포항환경운동연합 대표는 "이번처럼 공사를 미루다 급하게 일정을 잡고 석면 철거를 학기 중 급하게 하는 학교들이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와 교육당국, 지방자치단체는 이와 같은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런 주장에 대해 포철고 측은 불가피한 부분이 있었다며 안전하게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학교 측은 "우리 학교는 기업형 자사고여서 교육청의 보조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포스코의 출연금도 계속 줄어들었고, 2022년에는 이것도 완전히 끊기면서 석면 철거 공사를 하지 못한 사정이 있었다"며 "다행히 2025년 출연금이 재개돼 공사 일정을 잡을 수 있었고, 올해 철거해야 하는 물량이 많아 학기 중 철거를 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학교 건물은 타 학교와 달리 크게 4개 동으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도록 건축돼 공사가 진행되더라도 안전이 완벽하게 확보된 상태에서 할 수 있다"며 "지난 9월 석면 철거도 학사일정과 직접 관련 없는 건물에서 이뤄졌다. 안전을 장담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면 공사를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포철고 석면 철거 공사는 다음 달부터 내년 2월까지 특별실동 및 3학년동, 내년 12월부터 2027년 2월까지 1학년동 및 2학년동 등이 남아있다.

학교 측은 "향후 위법 사항이나 학생 안전에 조금이라도 문제점이 있을 경우 즉시 공사를 중단하고 필요한 보완조치를 완벽히 시행한 후 공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