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아픔 나눈 운명공동체" 대구·광주·수원 시민단체, 군·민간공항 통합이전 건설촉구 '맞손'

입력 2025-11-12 15:39:18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2일 오후 대구상공회의소에서 3개 도시 공동협약식 개최
"3개 도시 협력해 공동 대응할 것…정부 주도 통합 TF 만들어야"

12일 열린
12일 열린 '군·민간공항 통합이전을 위한 3개 도시 시민단체 공동 기자회견'. 참여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김유진 기자

통합신공항대구시민추진단이 군·민간공항 통합이전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광주·수원과 손을 맞잡고 공동행동에 나섰다. 3개 도시 시민단체들은 지지부진하던 군·민간공항 통합이전 사업이 정상궤도에 오를 때까지 투쟁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통합신공항대구시민추진단과 광주군공항이전시민추진협의회, 수원군공항이전 및 경기통합국제공항추진시민협의회(이하 3대 도시 시민단체)는 12일 오후 2시 대구상공회의소에서 대정부·국회·정치권 대상으로 한 공동성명 발표와 함께 공동협약식, 공동촉구결의대회, 공동기자회견을 가졌다.

3대 도시 시민단체는 군·민간공항 통합이전 사업은 각 지역의 최대 현안이지만, 정치권의 외면 속에 정체상태에 놓였다며 앞으로는 국책사업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대구를 비롯해 광주, 수원 지역 역시 지난 2013년 '군공항 이전 특별법'이 마련된 이후에도 수년째 공전하면서 진척이 더디다는 지적이 제기돼온 곳이다.

이들은 사업 추진을 위해 대통령실과 기획재정부, 국방부 등 관련 부처가 참여하는 범정부적 전담 기구 설치를 촉구했다. 또 정부가 현재 사업 방식인 '기부 대 양여' 방식의 한계를 인정하고, 사업비 초과분과 이전지역 지원 비용을 국비로 지원할 것을 법제화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환영사에 나선 장세철 통합신공한대구시민추진단 대표는 "군·민간공항 이전 사업은 특정 지역의 이익을 넘어 미래 100년 AI 시대를 대비하는 대한민국 균형발전과 지방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과제"라며 "현 정권은 지체된 사업 과정에 대해 대국민 사과를 하고 최우선 국정과제로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채일병 광주군공항이전시민추진협의회 대표회장은 "대구,수원,광주는 지역은 다르지만 도심 한복판에 군공항이 있어 시민들이 수십년간의 소음 피해와 안전 불안감 등 공통된 고통의 아픔을 겪어왔다"며 "광주는 지난 6월 이재명 대통령이 군 공항 이전 문제 해결을 위해 TF 구성을 지시했지만 제대로 설치 되지 않았는데, 한 지역만 꼽아서 하기보다 3개 도시가 함께하는 TF가 구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철상 수원군공항이전 및 경기통합국제공항추진시민협의회 회장도 "우리는 같은 아픔을 나눈 운명공동체"라며 "공항 이전 사업은 선택이 아니고 약속이며 국민들의 간절한 소망"이라고 덧붙였다.

3대 도시 시민단체는 이날 맺은 공동연대 협약((MOU)을 바탕으로 '대구·광주·수원 3대 도시 공동연대 협의체'를 구성하고,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공동 활동을 이어간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