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 전문기업 팔란티어가 3분기 매출액이 사상 최고인 11억8천만 달러(약 1조7천억원)를 기록했다.
4일(현지시간) 팔란티어는 올 3분기 주당순이익(EPS)은 21센트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63% 성장한 매출은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10억9천만 달러를 상회했다.
매출액의 경우 역대 최고 매출이었던 직전 분기(10억 달러)와 견줘서도 18% 상승한 수치다. EPS도 시장 전망치 17센트보다 높았다.
미국 내 매출은 8억8천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정부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2% 성장한 4억8천600만 달러였고, 민간 부문 매출은 121% 늘어난 3억9천700만 달러로 나타났다.
팔란티어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부 업무의 일시적 정지) 사태가 계속되고 있음에도 이와 같은 성장세가 4분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4분기 매출액 전망치는 13억2천700만∼13억3천100만 달러 사이로 제시됐다.
월가의 분석가들은 팔란티어에 대해 가치 대비 주가가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맷 말리 밀러타박플러스코 수석 시장전략가는 "음악이 멈추면 이 주식은 다른 종목보다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더 저렴한 다른 AI 관련주들이 현재로선 좀 더 안전하다"고 말했다.
알렉스 카프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주주들에게 보낸 공개서한에서 팔란티어가 이민통제를 돕고 이스라엘 정부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각종 비판들에 대해 반박했다.
카프 CEO는 "이번 (실적) 상승세는 금융 분석가들과 수다쟁이들을 당황하게 했다. 그들의 인식 틀은 이처럼 거대한 기업이 이렇게 맹렬하고 쉼 없이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모든 것이 무너져 내린다. 중심은 버티지 못한다"는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시 '재림'(The Second Coming)을 인용하며 "오늘날 미국이 (세계의) 중심이며, 이는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