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제2차 협의체 회의…분과 체계 개편으로 협력 강화
베트남 등 해외사업 진출 모색 '대외협력 분과' 신설
        
        
                    
전국 7개 도시철도 운영기관이 공동 현안 해결과 외국 사업 진출을 위해 머리를 맞댄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4일 세종에서 전국 7개 도시철도 운영기관이 모두 참여해 공동 현안을 논의하는 제2차 '도시철도 운영기관 협의체' 회의를 개최한다.
협의체는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경기 등 자치단체별 교통공사가 참여한다. 지난 3월 27일 협의체 발족식 이후 처음 열리는 전체 회의다.
이번 회의에서는 운영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공유하고, 각 기관이 직면한 도시철도 운영 효율화와 신기술 도입 등 구체적 현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며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국민에게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기관 간 협력과 상호 발전을 기반으로 한 지속 가능한 도시철도 운영 체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대광위는 이번 협의체에서 기존의 기술·운영·제도 3개 분과 체계를 개편해 협력 체계의 실효성을 높인다. '대외협력 분과'를 신설하고, 기존 운영 분과와 제도 분과를 '운영·제도 분과'로 통합한다.
신설된 대외협력 분과는 베트남 하노이·호치민 도시철도 등 외국 진출 가능성을 모색하고, 국내 기업 및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 연구기관과의 협력 방안을 구체화한다. 외국 도시철도사업 진출 등 사업 발굴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추진전략 공유와 개발도상국 협력사업 등을 추진한다.
운영·제도 분과는 운영비 절감 방안과 함께 기관별 주요 현안 해결을 위한 제도 개선 과제를 통합해 논의한다. 운영비 절감 등을 통한 운영 효율화 방안과 도시철도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제도개선, 정책과제를 발굴한다.
기술 분과는 기관별 우수 기술력 공유와 국내·외 신기술 도입 방안을 논의한다.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해외 기술 동향 분석·공유와 무인운전 등 신기술 도입을 추진한다.
협의체에서는 시·도 자치단체가 수립하는 도시철도망 계획의 대광위 이관 추진 현황 및 발전 방안에 대한 발제와 토의가 진행된다. 한국교통연구원이 발제를 맡는다. 도시철도 안전성 강화 등에 대한 토의도 함께 진행된다.
국내 기업의 참여 가능성이 높은 베트남의 도시철도 도입과 관련해 하노이 도시철도 2·3호선 사업 참여 사례를 공유한다. 무인운전 도입에 대한 발제와 토의도 이어진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발제한다.
전국 7개 모든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협의체를 계기로 기관 간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상생 기반의 동반성장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할 예정이다.
김용석 대광위원장은 "도시철도는 하루 평균 850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시민의 일상을 뒷받침하는 핵심적인 인프라"라며 "시민이 보다 편리하게 도시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 효율화와 서비스 품질 향상에 힘쓰는 한편, 신기술 도입과 해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도시철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