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기업마당'으로 통합…중소기업 지원, 클릭 한 번으로 끝

입력 2025-11-04 08:00: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중기부, 37개 흩어진 신청 채널·복잡한 서류 절반으로 줄여
불법 브로커 차단·AI 맞춤 추천 도입…2027년 원스톱 서비스 완성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지난 8월 29일 인천 남동구 하나금속을 방문해 생산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지난 8월 29일 인천 남동구 하나금속을 방문해 생산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산재된 중소기업 지원사업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고,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기업의 지원사업 이용 편의를 대폭 개선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정부·자치단체 등 2천700여 개 지원사업을 한데 모은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기업마당'(가칭)을 내년 말까지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확정했다.

현재 정부의 지원정보는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로 나뉘어 있어 기업이 모든 사이트를 일일이 찾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 통합 플랫폼이 완성되면 중소기업·소상공인·창업기업은 한 계정으로 로그인해 모든 부처의 지원사업 공고를 확인하고 신청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정부는 특히 AI를 활용해 기업별 맞춤 지원을 강화한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기업의 업종·규모·수출 이력 등을 분석해 필요한 사업을 자동 추천하는 서비스가 도입된다. 창업기업에는 '닮음지수'를 통해 유사 사업 성공 사례를 분석해주고, 수출 중소기업에는 품목·국가별 관세와 수요 정보를 반영한 맞춤형 수출국가를 제시한다. 소상공인을 위해서는 상권 분석과 경영 상담을 제공하는 'AI 도우미'가 단계적으로 운영된다.

서류 부담도 대폭 줄어든다. 현재 평균 11개인 신청서류를 내년부터 절반 이하인 4개 수준으로 감축한다. 국세청, 행정기관, 중소벤처기업부 시스템을 연계해 사업자등록증, 재무제표, 중소기업 확인서 등 행정서류를 자동 제출하도록 바꾼다. 또한 생성형 AI가 사업계획서 초안을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서비스가 무료 제공돼, 인력 여력이 부족한 영세기업의 부담을 줄일 예정이다.

정부는 불법 브로커 근절에도 나선다. 사업계획서를 대량 복제해 여러 기업에 유통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논문 표절검사와 유사한 AI 기반 중복성 탐지 시스템을 내년 상반기 도입한다. 기관 사칭, 허위서류 제출 등 불법 행위를 유형화하고, 자료제출 요구권과 제재 규정을 법적으로 마련할 방침이다.

혁신 기업 선별 체계도 강화한다. 벤처캐피탈(VC)이 선투자·추천한 스타트업을 투자 규모와 성장 단계별로 차등 지원하는 TIPS(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 예산을 7천478억원에서 1조1천592억원으로 55% 확대한다. 지원 기업도 876개사에서 1천200개사로 37% 늘린다.

또한 시장과 AI를 결합한 기업 선별 체계도 강화된다. 벤처캐피탈(VC)이나 대기업의 투자 이력을 바탕으로 지원 대상을 선정하는 TIPS(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 예산을 7천478억원에서 1조1천592억원으로 55% 확대한다. 지원 기업도 876개사에서 1천200개사로 37% 늘린다. AI·빅데이터 기반 기술기업 평가시스템 'K-TOP'을 모든 기업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다. 중소기업 정책자금 평가에는 AI 모델 'K-value'가, 소상공인 지원에는 특화 신용평가시스템이 단계적으로 도입된다.

정부는 내년 말까지 관세정보 기반 수출 추천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2027년 1월부터 모든 지원사업을 통합한 본격적인 원스톱 서비스를 시작한다.

중기부 관계자는 "이번 개편으로 서류·시간 부담이 줄고 불법 브로커 개입이 차단되면 지원사업 접근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