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복귀 전공의, 내년초 전문의 시험 응시 허용…특혜·역차별 논란 불거져

입력 2025-10-28 14:12:29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먼저 복귀한 전공의는 '역차별' 주장…수련 담당 진료과 학회도 '난색'
정부 "전문의 배출 절벽 막기 위한 조치…부작용 최소화할 방안 고민"

대구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입원 환자가 이동 중이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대구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입원 환자가 이동 중이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지난 9월 병원으로 복귀한 전공의들에 대해 수련 종료 전인 내년 초 전문의 시험과 레지던트 모집에 응시할 수 있도록 방침이 정해졌다.

전문의 배출 절벽을 막기 위한 조치로 해석되지만, 미리 복귀했던 전공의들은 역차별 문제를, 시험을 진행해야 하는 관련 학회들은 수련 부족 상황에서 시험을 어떻게 내야 할 지 등 문제가 많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28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수련협의체 논의 등을 거쳐 이 같은 방침을 정하고 이번 주중 최종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의대를 졸업하고 국가시험에 합격해 의사 면허를 취득한 일반의들은 인턴 1년, 레지던트 3∼4년의 전공의 과정을 거친 후 매년 2월 전문의 시험을 치러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지난해 2월 의대 증원에 반발해 사직했다 지난 9월 수련을 재개한 인턴이나 레지던트 마지막 연차는 내년 8월에 수련을 마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내년 초에 치러지는 전문의 시험이나 레지던트 모집에 응할 수 없다. 수련 종료 후 6개월가량 더 기다려 내후년 초에 지원해야 한다.

올해 3월 복귀자의 경우 내년 초 정상적으로 응시가 가능하다. 6월 복귀자의 경우 인턴은 수련 단축 특례가 적용돼 내년 초 레지던트로 진급할 수 있고, 레지던트의 경우 3개월가량의 추가 수련을 전제로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그러나 3·6월 복귀자 수가 많지 않고 사직 전공의 대다수가 9월 복귀를 택한 탓에 이대로라면 내년 전문의 시험 응시자나 레지던트 진급자는 사직 없이 정상적으로 수련을 이어간 전공의들을 포함해 소수에 그치게 된다.

전문의 배출 절벽을 최소화하기 위해 당초 정부는 내년 8월 전문의 시험을 한 차례 더 치르는 방안에 무게를 실었으나 시험을 주관하는 대한의학회 측이 추가 시험에 부정적이어서 결국 '선(先) 응시 후(後) 수련'으로 방침을 정했다.

'고육책'이라고는 하나 집단행동을 한 전공의들에게 특혜가 계속되고 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보인다. 특히 '배신자'라는 비난을 들으며 3, 6월 조기 복귀한 전공의들은 역차별이라고 반발하는 등 전공의들 내 갈등도 심화하는 양상이다.

한 전공의는 "3월 복귀한 인턴들은 인력 부족 속에 과중한 업무를 감내하며 동료들로부터의 부정적 시선과 고립까지 견뎌야 했다"며 "지금도 의료 커뮤니티 내엔 먼저 복귀한 인턴을 조롱하거나 비난하는 게시글이 다수"라고 전했다.

먼저 복귀한 이들은 레지던트를 모집할 때 조기 복귀 인턴을 우선 배정하는 등 공헌도를 반영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전문의 시험과 레지던트 모집에 합격한 후 이뤄지는 추가 수련이 부실하게 이뤄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 학회 이사장은 "2년 6개월 만에 전문의 시험에 응시해 합격하는 게 불가능한 게 현 수련체계"라며 "설령 전공의들이 시험에 합격한 이후 남은 기간동안 수련이 제대로 될 지 의문을 품는 교수들이 많다"고 전했다.

전문의 시험 문제를 출제하게 될 대한의학회 산하 각 진료전문과학회들은 "수련이 부족하다 하더라도 난이도를 낮추는 것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수련 부실 우려가 현실화할 경우 내후년부터는 이러한 조기 응시를 불허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복지부 관계자는 여러 비판과 우려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듣고 검토했다며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