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딥페이크 범죄 대응을 위한 AI 탐지 모델 경진대회 개최

입력 2025-10-23 16:46:18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딥페이크 범죄 대응을 위한 AI 탐지 모델 경진대회 포스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제공
딥페이크 범죄 대응을 위한 AI 탐지 모델 경진대회 포스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제공

행정안전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하 진흥원)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과 함께 '딥페이크 범죄 대응을 위한 AI 탐지 모델 경진대회'를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2025년 상시적 의사결정 지원 데이터 분석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다. 이미지·동영상 속 얼굴을 중심으로 실제와 가짜를 구분하는 고성능 딥페이크 탐지 AI 모델을 개발하는 게 목표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수상한 모델은 국과수의 딥페이크 탐지 업무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번 경진대회는 인공지능에 관심이 있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개인 또는 5인 이하 팀 단위로 참가 가능하며, 경진대회 접수 및 대회 운영은 민간플랫폼(인공지능팩토리)을 통해 진행한다.

참가 접수는 다음 달 20일 오후 5시까지이며, 대회 운영은 10월 23일 오전 10시부터 11월 20일 오후 5시까지다.

제출한 모델은 민간플랫폼 내 비공개 테스트셋으로 자동 채점한다. 최종 수상작은 모델 성능과 사후검증을 통해 결정되며, 12월 초 시상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상금과 시상도 다양하다. 수상팀에는 ▷대상(1팀) 상금 3천만원과 행정안전부 장관상 ▷최우수상(2팀) 상금 각 1천500만원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상(1팀) 및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장상(1팀) ▷우수상(4팀) 상금 각 800만 원을 지급한다.

황종성 진흥원 원장은 "이번 경진대회를 통해 국민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로 딥페이크 범죄에 대응하고, 안전한 디지털 사회를 만드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실제 수사에 활용될 수 있는 정교하고 효과적인 모델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